9년 만에 출생아 수 증가세 전환
충청도 혼인 건수 늘며 반등 성공
지속적 증가 위해 정책 확대 필요
[충청투데이 최광현 기자] 9년간 이어졌던 출생아 수 감소 추세가 마침내 반등에 성공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정부와 지자체의 다각적인 정책지원과 함께 혼인 건수 증가가 긍정적 변화를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인구동향'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출생아 수는 23만831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23만28명보다 8298명 증가한 수치로, 2015년 이후 9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충청권도 충북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상승세가 나타났다.
충남이 9436명에서 9855명으로 419명(4.4%) 증가해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전은 7194명에서 7266명으로 72명(1.0%) 늘었고, 세종은 2761명에서 2895명으로 134명(4.9%) 증가했다.
충북만 유일하게 7580명에서 7540명으로 40명 소폭 하락했지만, 충청권 전반적으로는 출생아 증가 흐름에 동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도 이런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 분만 예정자는 30만4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만 명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로 충청권 올해 1~2분기 합산 출생아 수도 전년동기대비 전반적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충북이 3669명에서 4095명으로 426명(11.6%) 증가해 충청권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충남은 4828명에서 5096명으로 268명(5.5%), 대전은 3584명에서 3770명으로 186명(5.2%), 세종은 1420명에서 1483명으로 63명(4.4%) 순으로 증가세가 나타났다.
이처럼 출생아 수 증가의 원인에는 혼인 건수 증가가 자리하고 있다.
올해 1~2분기 충청권 혼인 건수를 보면 대전이 지난해 같은 기간 3255건에서 4163건으로 908건(27.9%) 급증했다.
세종은 902건에서 965건으로 63건(7.0%), 충북은 3497건에서 3626건으로 129건(3.7%), 충남은 4546건에서 4658건으로 112건(2.5%) 각각 늘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출생아 수 반등을 정부와 지자체의 저출생 대응 정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다.
육아휴직 확대, 출산·육아 지원금 증액, 보육 인프라 확충 등이 지역별 맞춤정책이 실효성을 거두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다만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한 지역인구정책 관계자는 "9년 만의 반등은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평균 출생아 수는 0.72명으로 최하위 수준"이라며 "지속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주거비 부담 완화, 교육비 경감,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 등 구조적 문제 해결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광현 기자 ghc0119@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