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연 공동개발 기술 민간 이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개발한 CIGS 태양전지 샘플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개발한 CIGS 태양전지 샘플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차세대 우주용 태양전지 기술이 민간 기술이전과 우주 환경 실증을 통해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선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너지연)은 우주 태양전지 전문기업 플렉셀스페이스와 ‘초경량 유연 CIGS 태양전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두 기관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에너지연의 기술을 이전받아 소형위성의 수명과 성능에 최적화된 초경량 박막 이중접합 태양전지를 공동 개발하고 시장 개척을 추진하는 데 합의했으며 총 기술이전 규모는 55억원이다.

에너지연은 그동안 연구원의 기술과 시장 요구 기술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시장적기진입과제’를 추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초경량 유연 CIGS 태양전지와 CIGS/페로브스카이트 이중접합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CIGS 태양전지는 열충격과 방사선에 강해 우주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초경량 유연 기판 위에 제작할 수 있어 큰 인공위성에 수납하기에도 적합해 III-V계 우주 태양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플렉셀스페이스는 에너지연의 초경량·유연 CIGS 박막 태양전지 기술을 기반으로 우주용 CIGS/페로브스카이트 이중접합 태양전지를 구현하고 실제 위성 적용을 위한 설계 및 생산성 향상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두 기관이 개발한 태양전지는 오는 11월 예정인 누리호 4차 발사와 연계해 실제 우주 환경에서 실증을 진행하며 누리호에 탑재되는 큐브위성 ‘INHARoSAT’에 태양전지를 부착해 신뢰성을 검증 및 우주 임무 수행 경험을 확보할 예정이다.

이창근 에너지연 원장은 “우주용 초경량·유연 박막형 태양전지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 대응하고 대한민국 우주 안보를 뒷받침할 핵심 부품 기술”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차세대 우주 태양전지 시장 개척의 중요한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