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배출량 6억 9158만t 2010년 이후 첫 7만t 아래로
산업·수송은 되레 증가… NDC 달성 고강도 노력 필요

석탄화력발전소. 충청투데이 DB.
석탄화력발전소. 충청투데이 DB.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지난해 대한민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0년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지만, 2030년까지 국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이하 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이 6억 9158만t으로 잠정 집계됐다. 잠정치는 1년 뒤 발표될 확정치 와 약 0.3~0.4% 차이로 근소하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7억t 아래로 떨어지는 것은 2010년(6억 8980t) 이후 처음이다. 2023년(잠정 7억 500t)과 비교해도 2%(1억 1419만t) 줄었다.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기 위해 2023년 수립한 ‘제1차 탄소중립 녹생성장 기본계획’의 2024년 목표치도 달성했다.

1차 국가 탄소중립 기본계획에서 2024년 목표는 순배출량(순배출량에서 흡수량을 제외)을 기준으로 6억 2510만t이었는데, 이날 센터가 발표한 잠정 배출량을 순배출량으로 환산하면 6억 10만t이 된다.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기여한 것은 전력이다. 지난해 발전·전환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억 1830만t으로 전년(2억 3090만t)보다 5.4% 감소한 것으로 추산됐다.

실제 전기 사용량은 595.67TWh(테라와트시)로 전년(588TWh)보다 1.3% 증가했지만, 석탄(184.9TWh→167.2TWh) 발전은 줄이고 그 공백을 원자력(180.5TWh→188.8TWh)과 재생에너지(49.4TWh→53.7TWh)로 채웠기 때문이다.

반면 산업과 수송 부문에선 이산화탄소 배출이 늘었다. 지난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억 8590t으로 전년(2억 8460t)보다 0.4% 증가했다.

특히 제품의 1단위를 생산할 때 나오는 온실가스양은 △정유업(배럴) 1만 6300t(전년대비 3.8%) △철강업(t) 1.57t(4.7%) △시멘트업(t) 1.029t(0.29%) 등으로 늘었다.

수송 부문의 온실가스 또한 2023년 9750t과 지난해 9780t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전기차 화재 위험성이 부각되며 무공해차 보급이 둔화하고 다시 휘발유차와 하이브리드차의 수요가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건물 부문 배출량은 지난해 4360만t으로 전년(4480만t)보다 2.8% 감소하긴 했다.

하지만 에어컨 등 냉매로 사용되는 수소불화탄소(HFCs) 관련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난해 3500만t으로 전년(3340만t)보다 4.8% 증가했다.

냉매는 최장 20년에 걸쳐 서서히 대기 중으로 누출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소불화탄소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이 한동안 많이 집계될 수 있는 셈이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에 따른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선 앞으로 총배출량은 2억 200만t, 순배출량은 1억 6350만t으로 줄여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평균 전년 대비 3.6%씩 온실가스를 덜 배출해야 하는 것으로 14년 만에 배출량을 7만t 아래로 낮춘 지난해보다도 더 고강도로 온실가스 ‘다이어트’를 해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최민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이 최근 계속 감소한 추세로 나타난 것은 긍정적이지만, 경기 둔화라든지 평균기온 상승과 같은 외부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며 “2030 NDC 이행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와 산업계의 보다 적극적인 저감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키워드

#온실가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