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정책 연계 가능성·성장잠재력 관건
市글로벌 혁신특구·국가산단 적극 활용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 연계 등 구상
29일 신청서 제출… 10월 중 결과발표
[충청투데이 권오선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가 올해 처음으로 추진하는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지구’ 지정에 대전시가 도전장을 내면서 그 결과에 이목이 쏠린다.
특히 산업성, 추진역량, 정책적합성, 실현 가능성 등 항목에 대한 평가가 예정된 만큼 지역 내 산업 시너지 창출 여부가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11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대전 글로벌 혁신특구와 대전 국가산단(나노·반도체) 일원에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지구를 유치할 계획이다.
부지는 약 43.9㎢의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며, 바이오소재, 산업기반, 혁신주체 집적화 및 산·학·연 연계해 산업 환경을 조성한다.
농식품부는 전국적으로 산업생태계를 확충하기 위해 평가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지자체를 제한 없이 지정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특히 타 정책과의 연계 가능성, 지역 주력산업과 성장잠재력, 전략 품목 및 기술 역량 등 지역 내에서 산업 시너지를 얼마나 끌어올리느냐가 관건이다.
또 관련 기업 밀집도, 그린바이오 육성 생태계 현황 등도 중점적으로 평가된다.
이에 시도 해당 사업의 성공적인 유치를 위해 지역 내 산업단지, 기업 등과 만들어낼 수 있는 시너지를 종합적으로 구축 중이다.
우선 대전 글로벌 혁신특구와 대전 국가산단에 지구를 설정해 특구와 산단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현재 혁신특구와 국가산단 등에는 바이오 기업이 다수 분포돼 있으며, 육성지구를 해당 지역에 중복 지정도 가능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린바이오뿐만 아니라 레드바이오, 화이트바이오 기업들이 복합적으로 유치돼 있어 입지적으로 유리한 상황이다.
시는 2023년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 공모 추진 당시 작성했던 용역 자료와 스마트농업 관련 자료,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이후 확보한 기업·인프라 정보를 종합해 신청서를 준비 중이다.
이와 함께 충남대학교가 교육부 주관으로 진행 중인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 사업과 연계해 인재양성과 기업 수요를 연결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시는 지구 지정 신청 마감일인 이달 29일까지 사업추진 전략과 세부 실행 계획을 구체화해 최종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지구 지정이 향후 대전 바이오산업 발전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대전만의 강점과 차별화를 부각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는 29일 신청서를 제출한 뒤 내달 발표·심의가 이뤄질 예정이며 오는 10월 중으로 최종 지정 절차가 진행된다.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