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과기정통부 인선 절차 중단
KAIST·IBS·한국한의학연구원 속도 더뎌
후보자 3배 모집 및 서류평가 절차 그쳐
정부정책 후 가시화…인선 속도 필요해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주요 인선을 마친 새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컨트롤타워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제자리걸음 중인 대덕특구 주요 기관들의 차기 기관장 선임 절차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과기부의 세부 조직 조정과 정부 과학기술 국정과제의 구체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기관 리더십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기관장 인선의 속도가 강조되고 있다.
10일 과학기술계 등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한의학연구원 등 대덕특구 내 주요 기관의 후임 기관장 인선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6·3 조기대선에 앞서 차기 기관장 선임을 진행했으나 새 정부 출범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선 등으로 절차가 중단되면서다.
이 중 KAIST, 한국한의학연구원 등 두 곳은 차기 기관장 선임을 위한 3배수 후보자 선정을 마쳐 최종 후보자 선정을 위한 이사회 절차가 진행돼야 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일정이 나오지 않은 상태다.
현재 확정된 KAIST, 한국한의학연구원의 3배수 후보자는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이광형 현 총장·이용훈 전 울산과학기술원 총장(KAIST), 마진열 한의학연 책임연구원·오수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획상임이사·최선미 한의학연 책임연구원(한의학연) 등이다.
IBS는 원장추천위원회가 올해 2월부터 3월까지 원장 후보자 서류접수를 진행했으나 아직 서류평가 절차도 마무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원장 선임 절차가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이광형 KAIST 총장과 노도영 IBS 원장, 이진용 한의학연 원장 등 3개 기관 기관장은 임기를 채웠음에도 기관장직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과기계에서는 새정부 출범 후 장·차관 인선 등을 통해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내각의 구성이 뼈대가 갖춰진 만큼 후임 인선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 기관장이 역할을 해오고 있으나 새로운 리더십을 확정지어 기관 운영에 힘을 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서다.
일각에서는 과기부 주요 인선 등이 마무리됐으나 국·과장급 인사 등 세부 조직 개편과 정부 국정과제 확정 등이 돼야 정부의 정책방향에 맞춘 인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과학기술계 관계자는 “과기부 내부 조직 개편과 정부 국정과제 확정 등의 주요 과제들이 우선되면서 기관장 선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고 있다”며 “현 기관장이 직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새로운 리더십 확보를 위한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