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 잃은 자운대 재창조]
우리나라 병역 자원 최근 5년 새 56만명↓
활용되지 않는 유휴부지 많아… 방치 사례도
방산혁신클러스터 등 대전과 연계 방안 마련
市 “도시산업 생태계 전환 기점으로 삼을 것”

병역자원 관리 현황. 그래픽=김연아 기자. 
병역자원 관리 현황.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조사무엘·권오선 기자] 자운대 재창조 프로젝트의 정상화가 필요한 이유는 병역자원 급감, 시설 노후화 위기에 대응할 국방혁신 과제이자 지역 균형발전을 견인할 대안이라는 점에서다.

물론 단순한 부대 재배치와 군 시설 현대화에 그치지 말고 국방산업과 도시성장을 연계한 전략적 공간 재구조화가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30일 병무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병역자원은 최근 5년 새 급감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 병력동원·징소집 대상, 보충역 복무자 등을 포함한 국내 병역자원은 2020년 751만 2000명에서 지난해 695만 명으로 5년 새 약 56만 명(7.5%) 줄었다.

국방부의 ‘국방백서’에 담긴 전망도 밝지 못하다.

20세 남성 인구는 2021년 29만 명에서 2035년 23만 명으로 줄어들 것이며, 2040년에는 현재에 절반도 못 미치는 13만 명 수준까지 대폭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 같은 추세는 군 부대 운용 전반에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병력이 줄어든 부대에서는 활용되지 않는 유휴부지가 늘어날 수밖에 없고, 실제 경기도 내 일부 군 시설은 유휴부지는 10년 넘도록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한 채 방치된 사례도 있다.

여기에 자운대의 경우 구조적 한계로 인한 ‘시설 노후화’ 문제도 내재돼 있다.

자운대는 1992년 창설 이후 약 30년이 지나면서 시설 곳곳에 노후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현재 자운대 내에 설치된 복지시설도 1995년에 건립된 쇼핑센터와 수영장(1996년 건립), 체력단련장(2005년 건립) 등 모두 20년 이상 지난 시설뿐이다.

구조물의 내구성, 정주 여건 개선 측면에서 한계에 봉착해 있다는 평가다.

이처럼 병력 구조와 시설 인프라에 대한 변화 필요성을 바탕으로 대전시와 국방부는 지난해부터 ‘자운대 공간 재창조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논의해 왔다.

정치권에선 이 사업이 단순한 국방정책 차원을 넘어 지역-중앙 간 상생모델로 발전해야 한다는 시각도 나온다.

국방산업과 드론·우주 산업 등 대전의 미래산업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만큼, 도시 전략과 병렬로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시와 국방부는 자운대를 단순한 이전 대상이 아닌, 도심과 어울리는 부대로 재편함과 동시에 남은 유휴부지를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들은 군사시설 고층·집적화, 통합청사 설치 등 시설의 특수성을 고려해 긴밀히 협의하며 사업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시에서는 향후 방산혁신클러스터 조성과 국방 전략산업 육성 등과의 연계를 통해 도시산업 생태계 전환 기점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지역과 국가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추진할 예정"이라며 "더 나은 계획 추진을 위해 국방부와 신중하면서도 유연하게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