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행정 절차·재정 협의 지연에 난항
‘행정수도 완성’ 이끌 국가적 과제 평가
정부·정치권 관심·재정적 뒷받침 필요

충청권 CTX 노선안(좌)과 기대효과(우). 국토부 제공.
충청권 CTX 노선안(좌)과 기대효과(우). 국토부 제공.
충청권 광역철도 노선. 대전시 제공.
충청권 광역철도 노선. 대전시 제공.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새 정부가 GTX 확대에 대한 지방 재정 부담 완화 등 균형발전 정책에 무게를 두면서, 충청권 핵심 교통사업인 ‘충청권 광역철도’와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역의 목소리가 높아진다.

28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충청권을 잇는 초광역 교통망 구축사업이 각종 행정 절차와 재정 협의 지연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들 사업은 충청권 핵심 과제로 꼽히는 ‘행정수도 완성’과 ‘충청권 메가시티’ 구상의 실현 여부를 가를 필수 인프라인 만큼, 추진이 지연될수록 여파는 불가피하다.

우선 충청권 광역철도는 계룡~신탄진(35.4㎞) 구간을 잇는 1단계 사업이 추진 중이다.

총사업비는 3620억 원 규모로, 기존 철도선을 활용해 신설역 6개소 포함 총 12개 정거장이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2023 노반공사 착공 이후 수차례 총사업비 조정과 설계 협의 지연 등으로 일정이 뒤로 밀린 상황이다.

전체 개통은 2027년으로 계획돼 있으나, 예산 협의가 길어질 경우 세부 일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의 경우에는 큰 변수에 직면해 있다.

CTX는 대전정부청사~세종~청주공항 등 충청권 주요 거점 구간(약 64㎞)을 최대 시속 180㎞의 급행열차를 투입해 1시간 내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2028년 착공해 2034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

현재 KDI(한국개발연구원)에서 국토부 의뢰로 민자적격성조사를 진행 중이다.

해당 조사는 민간투자 방식의 사업성이 타당한지 검토하는 절차로, 결과는 오는 연말 발표 예정이다.

조사 통과 시 기재부의 민간투자심의, 실시협약 체결 등 후속 단계로 이어지게 된다.

문제는 막대한 사업비와 비수도권 사업의 구조적 한계다.

CTX는 노선 연장에 따라 사업비가 5조 원대로 늘었으며, 수도권 대비 낮은 경제성으로 인해 민자사업 추진의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만약 민자적격성조사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을 경우, 국비 중심 재정사업 전환 등 계획 전반의 수정이 불가피하다.

지역에서는 두 사업이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수도권 일극체제를 완화하고 충청권 메가시티 완성에 기여하는 ‘국가적 과제’라는 인식이 강하다.

정권 변화와 관계없이 행정수도 보완과 지역 연결성 강화를 위한 투자는 지속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충청권 광역철도와 CTX 모두 일정상 중대 고비를 앞두고 있다”며 “충청권 핵심 교통망이 흔들림 없이 추진되도록 정부와 정치권의 지속적인 관심과 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의 주요 거점역을 30분대에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중교통 사업이다. 그 중 GTX-C 노선은 덕정역~수원역을 연결하며, 최근 천안·아산까지의 노선 연장 계획을 추진 중이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