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30일 기자회견서 “충청민 이해해 줄 것” 밝히기도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과 관련해 부산의 특수성과 낙후 상황을 고려한 합리적 조치라며 이전 강행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3일 취임 30일을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해수부를 부산으로 옮기겠다고 했더니 대전, 충남 인천 등에서 반발이 나오고 있다”며 특정 공공기관을 어디에 둘 것인지는 참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부산 상황이 사실 매우 심각하다. 수도권에서 거리가 멀수록 더욱 심각하다”며 “충청 지역은 그래도 수도권에서 출퇴근을 해서 '남방한계선'이 내려오고 있기 때문에 그 남방한계선을 완전히 벗어난 남도지방들, 호남·영남·강원 이런 곳보다 상황이 낫다"고 말했다.

그러면서“균형발전을 위해서 수도권에서 공공기관을 대전·세종 등으로 집중 이전했는데, 더 어려운 지역으로 하나 정도 옮기는 것은 공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며 “부처 하나를 부산으로 옮긴다고 ‘절대 안 된다’며 다 가지겠다고 충청권이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해수부 부산 이전을 반대하는 충청권에 사실상 ‘수도권으로부터 행정수도 이전과 공공기관 이전의 혜택을 받은 지역’이라는 점을 상기시키며 이해를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충청권에서는 해수부가 정부세종청사에 자리 잡은 지 10년도 채 안 된 시점에서 추진되는 이전이 행정수도 완성의 취지에 맞지 않고, 부처 간 협업과 정책 효율성에도 혼선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그는 "경기지사 재임 시절 경기남부에 있던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을 북부, 동부 또 서부 지역으로 다 옮기기로 결정을 했는데 그때도 많이 시끄럽긴 했지만, 결국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의 시민의식 수준이 매우 높아서 공리적으로 합당하다면 다 수용했다"며 "이러한 반발은 정책을 결정하는 입장에선 언제나 맞딱뜨리는 일이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 뒤 지지도가 떨어졌다는 소리를 듣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다른 지역과의 갈등 사안으로 거론된 우주항공청 관련 시설 이전 문제도 언급했다.

경남 사천과 대전이 관련 기관 이전을 두고 충돌하고 있는 상황을 두고 “참 어렵다”며 “어느 쪽이 더 합당한지 결국 선택해야 하는 순간이 올 것”이라고 했다.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에 대해서는 “2차 공공기관 이전의 구체적 계획은 아직 수립하지 못한 단계”라며 “2차 공공기관 이전은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필요한 만큼, 관련 부처가 정비되면 계획을 수립해보겠다”고 답했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