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폭염일수 10년동안 약 3배 급증
반복되는 형식적 재난문자 실효성 부족
보건시설 연락처 등 구체적 정보 필요
[충청투데이 권오선 기자] 충청권의 폭염일수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지만, 정부의 재난문자는 여전히 매뉴얼에 기반한 형식적 알림에 그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일 기상청에 따르면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 모두 최근 10년간 폭염 일수가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폭염 발생 시기가 기존 6월에서 8월을 넘어 9월까지 이어지면서 체계적이고 지역 맞춤형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대전은 2015년 6~9월 사이 폭염일수가 12일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43일로 늘어 10년 만에 3.5배 이상 증가했다.
세종시는 2019년 11일이었던 폭염일수가 2023년 32일로 급증했고, 충북 역시 2015년 평균 10.2일에서 지난해 26일로 증가했다.
충남은 같은 기간 6.7일에서 32.5일로 폭염일수가 약 5배 뛰며 충청권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이와 함께 폭염이 지속되는 기간도 길어지고 있다.
2015년만 해도 6~8월에 국한됐던 폭염은 최근 9월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전은 지난해 9월 11일 폭염일수를 기록하며 역대 가장 긴 폭염 기간을 나타냈고, 세종은 2023년 처음으로 9월 폭염이 7일 발생했다. 충북과 충남도 각각 5.4일, 8.2일로 9월 폭염이 처음 관측됐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지자체들은 폭염 종합대책을 세우고 재정 지원과 재난문자를 통해 대응요령을 안내하고 있다. 하지만 반복적이고 구체성 없는 재난문자에 대해 시민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시민들은 스마트폰 설정을 통해 재난문자 수신을 차단하기도 한다.
대전 둔산동에 거주하는 직장인 이현지(33)씨는 "폭염 주의라는 문자는 계속 오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동하라는 내용은 없어 그냥 무시하게 된다"며 "가까운 병원이나 무더위 쉼터 위치 같은 실질적인 정보가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학계에서는 폭염기간 재난문자 송출기준 개선과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가까운 보건시설 연락처도 추가로 넣는 등 행정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채진 목원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지금 지자체별로 보내는 재난문자들은 매뉴얼 대로만 간단하게 보내는 경우가 많다"며 "이는 재난문자를 보내기만 한다면 면책된다는 이유로 복지부동이 만연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재난경보시스템은 잘 갖춰져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는 못해 정보전달 체계에서 활용성을 키울 필요가 있다"며 "지역별, 업종별 등 세부적인 내용을 갖추고, 가까운 보건시설의 연락처와 같은 응급 연락처도 추가해 현 재난문자 행정체계의 구체성과 적시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