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및 해수부 장관, 부산 이전 의지 확고
일각선 정치적 패배보단 협상 카드 필요성도
협상 통해 충청권 위상·행정수도 완성 이끌어야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해양수산부(해수부)의 부산 이전안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는 가운데, 충청지역 정치권이 어떤 대응 전략을 선택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보다 강력한 이전 저지를 이어갈 것인가, 아니면 세종시 국회 완전이전 실질화와 대통령 집무실 설치, 중앙부처 추가이전 등 더 큰 보상을 얻어내기 위한 전략적 ‘빅딜’에 나설 것인가를 두고 지역사회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해수부 이전은 단순한 부처 이전을 넘어 국가 균형발전 전략, 행정수도 완성 구상 등과 직접 맞물려 있는 중대한 사안으로 평가되고 있는 상황.
이전 절차의 불투명성과 공론화 부족, 행정수도 세종완성 공약과의 충돌 등으로 인해 논란은 한층 더 거세지고 있다.
‘조급한 결정’이라는 비판과 함께, 관련 법적 절차 미이행 문제도 또 하나의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이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정치적 기반과 확고한 의지를 바탕으로 해수부 이전을 밀어붙이면서, 이제는 되돌리기 힘든 국면에 들어섰다는 진단이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여론 역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사실상 인정하는 분위기로 흐르고 있다. 신중하고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쪽으로 스탠스를 전환하는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A 의원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이미 오래전 결정됐다. 번복 가능성은 절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충청권이 해수부 부산 이전을 ‘정치적 패배’로 받아들이기보다, 전략적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실용적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솔직히 이제는 세종시가 국회의사당, 대통령집무실, 중앙부처 추가이전 등의 명분을 키우는 데 집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돼버렸다”고 조언했다.
단기적 반발보다 장기적 이득을 추구하는 '협상 프레임'으로 입장을 전환하는 것이 행정수도 세종완성의 실질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 과거 대전 중소벤처기업부의 세종 이전 당시, 대전시가 방위사업청과 기상청 유치 등을 이끌어내며 ‘부처 이전 맞교환’ 모델을 실현한 전례도 있다.
해수부의 부산 이전 논란이 '세종시 잔류냐 부산 이전이냐'를 넘어, 충청권의 미래 균형발전 구도를 재편하고 정치적 주도권을 거머쥘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점이다.
거센 반발이나 수용의 문제를 넘어, 이 사안을 어떤 전략으로 풀어가느냐에 따라 충청권의 정치적 위상과 향후 행정수도 세종완성 방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현 시점, 해수부 이상의 것을 얻어내는 전략적 안목이 필요할 수 있다. 국회 세종의사당 조기 착공, 대통령실 집무실 설치, 중앙부처 추가 이전 등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정부와 정치적 빅딜을 추진하는 향후 대응 방안도 미리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