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올해 처음으로 사칭 노쇼 통계 관리… 5월까지 전국 1167건
빅카인즈 뉴스 분석 결과 올해 충청권 지자체 35곳 중 46% 노쇼 사칭
물품 대납 요청 후 대리구매식으로 빼앗아…위조 계약서·공문으로 속여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공공기관의 신뢰를 악용한 사칭 사기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면서 올해만 벌써 전국적으로 1000건 이상의 노쇼(예약 부도) 신고가 경찰에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경찰청에 따르면 전국 각 시·도경찰청에 접수된 기관 사칭 노쇼 사기는 올해 5월까지 모두 1167건으로 집계됐다.
공공기관, 지자체, 군부대, 교정기관, 소방본부, 정당, 연예인 등 각종 사칭을 총망라한 것으로, 경찰청이 노쇼 통계를 전방위적으로 수집하는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앞서 군부대(지난해 2월~올해 3월) 사칭만 한정해 파악했던 것을 이제 대대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군부대와 교정기관이 사칭 기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긴 하나 지자체, 소방 등 유형을 가리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청은 5개월간 접수된 노쇼 사기를 지역별로 구분하진 않았지만, 충청권에서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보가 뉴스분석시스템 빅카인즈와 나라장터의 공공기관 사칭 피해 사례 등을 분석한 결과, 충청권 지자체 35곳 중 16곳(45.7%)이 올해 최소 1번 이상 노쇼 사기에 이용됐다.
대전시, 세종시, 충남도, 충북도 등 광역지자체는 모두 사칭 사례가 확인됐고, 기초지자체는 충남 6곳(40%)과 충북 5곳(45.5%) 등 도 단위에 집중됐다.
지자체 외에도 충청권 내 소방기관 9곳과 국방기관 5곳, 교정기관 4곳, 국립대 2곳, 공기업 1곳에서 올해 사칭 노쇼 사기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사칭된 기관만 집계한 것인 만큼 실제 지역에서 발생한 기관 사칭과 피해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기관 사칭 노소는 소상공인에게 물품 대납을 요청하는 것처럼 속인 뒤, 해당 영업장에서 취급하지 않는 물품도 대리 구매해 납품해달라며 돈을 빼앗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마치 진짜처럼 위조한 납품계약서나 공문, 명함을 제시하고 며칠에 걸쳐 연락을 취하는 등 수법에서 치밀함을 보이고 있다.
일례로 이달 초 충북도 예산팀 직원을 사칭한 노쇼 사기에 청주에서 종합도소매업을 하는 A씨가 약 1억원의 피해를 입었다.
사칭범은 A씨에게 도정 기념품과 방화복 등을 각 시·군에 보급할 예정이니 납품이 가능하겠냐며 특정 업체에서 물품을 구매하면 된다고 안내했다.
평소 도청과 거래해온 경험이 있던 A씨는 별다른 의심을 하지 않았고, 사기임을 인지했을 땐 이미 사칭범이 알려준 업체에 돈을 보낸 후였다.
이처럼 공공기관 사칭 사기는 소상공인에게 금전 피해를 일으킬 뿐 아니라, 명칭이 악용된 기관에도 부정적 이미지와 불신을 유발할 수 있어 시민의 주의와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대전경찰청 관계자는 “단체 구매, 음식 예약을 한 상대방이 해당 기관에 소속돼 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특히 군부대는 보안 상 공문서를 외부로 유출하지 않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소영 중부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노쇼 사기는 지역 주민이 공공기관의 공문이나 협조 요청을 회피하게 해 정책 집행의 수용성과 정당성까지 훼손하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