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피해 신고 잇따라 발생
카드발급→정보유출→범죄연루
유도하며 특정계좌 이체 권유해
고령층 중심 피해…경각심 필요

보이스피싱 피해 주의.(이미지=SNS 캡쳐)
보이스피싱 피해 주의.(이미지=SNS 캡쳐)

[충청투데이 전종원 기자] 충남 서산지역에서 카드 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서산경찰서 피싱범죄수사팀에 따르면, 지난 4월 23일과 5월 23일 각각 3500만 원과 2800만 원의 피해가 접수됐다. 범인들은 피해자에게 카드 배송을 안내하며 “본인 명의로 신규 카드가 발급됐다”고 알린 뒤, 피해자가 이를 부인하면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 같다”며 금융감독원 고객센터로 연결을 유도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이어 피해자가 전화한 번호에는 또 다른 공범이 금융감독원 직원을 사칭해 등장한다. 그는 피해자의 명의가 범죄에 연루됐다고 거짓으로 설명하고,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며 특정 계좌로의 이체를 권유하거나 지시한다. 실제 피해자들은 이 같은 말에 속아 수천만 원을 송금하는 피해를 입었다.

경찰은 이 같은 보이스피싱이 단순 전화사기 수준을 넘어, 디지털 기술을 동원한 정교한 범죄로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특히 최근에는 피해자에게 고객센터 전용 앱이라며 악성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한 뒤, 이를 통해 스마트폰을 원격조종해 금융 앱에 접속, 자산을 빼가는 수법도 확인되고 있다. 앱 설치 이후에는 문자, 알림, 전화 수신까지 통제되기 때문에 피해자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피해자는 대부분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범죄 조직은 디지털 취약계층을 주요 표적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서산경찰서는 “같은 수법의 보이스피싱이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다”며 “피해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경각심 공유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공공기관은 어떤 경우에도 전화로 자산을 이체하라고 요구하지 않는다”며 “출처가 불분명한 전화나 문자, 앱 설치 요구는 절대 응하지 말고, 가족이나 지인들과 이 같은 정보를 공유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즉시 112에 신고하거나 서산경찰서 피싱범죄수사팀에 직접 방문해 신고 접수할 수 있다.

조금이라도 의심된다면, 혼자 판단하기보다 반드시 경찰이나 금융기관에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피해를 막는 지름길이다.

전종원 기자 smar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