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국힘 대전시당 위원장 기자회견서 비판
국가사업 본래 목적, 정치권 표 계산 따라 왜곡
“세종시·대덕연구단지 기획 입안 취지 지켜야”

국민의힘 이상민 대전시당위원장과 시·구의원 등이 23일 오전 대전시의회 기자실에서 해양수산부 부산이전과 대덕연구개발특구내 항공우주연구원, 천문연구원 경남 사천이전 특별법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사진=이심건 기자
국민의힘 이상민 대전시당위원장과 시·구의원 등이 23일 오전 대전시의회 기자실에서 해양수산부 부산이전과 대덕연구개발특구내 항공우주연구원, 천문연구원 경남 사천이전 특별법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사진=이심건 기자
국민의힘 이상민 대전시당위원장과 시·구의원 등이 23일 오전 대전시의회 기자실에서 해양수산부 부산이전과 대덕연구개발특구내 항공우주연구원, 천문연구원 경남 사천이전 특별법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사진=이심건 기자
국민의힘 이상민 대전시당위원장과 시·구의원 등이 23일 오전 대전시의회 기자실에서 해양수산부 부산이전과 대덕연구개발특구내 항공우주연구원, 천문연구원 경남 사천이전 특별법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사진=이심건 기자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충청권의 반발을 사고 있는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과 대덕연구단지 내 정부출연연구소의 분할 이전 시도가 국가균형발전 취지를 훼손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은 23일 대전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해수부 부산 이전과 출연연의 타지역 이전 시도에 대해 강력히 비판하며, 세종시와 대덕연구단지의 본래 기획 취지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국가사업의 본래 목적이 정치권의 표 계산에 따라 왜곡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시는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행정수도로, 각 부처를 한데 모아 부처 간 칸막이를 줄이고 국정 추진력을 높이자는 취지로 조성됐다.

이 위원장은 “이미 입주한 해수부를 다시 부산으로 이전하는 것은 세종시 건설 목적과 충돌한다”며 “부처 나눠먹기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앞서 노무현 전 대통령은 해수부 장관 재임 시절에도 해수부 이전 요구를 거부한 선례가 있다.

이 위원장은 “당시 노 전 대통령은 부산 지역 주민들을 설득해 해수부를 남겼다”며 “정작 이를 계승한다는 현 여권이 대통령 공약을 이유로 이전을 추진한다는 것은 모순”이라고 말했다.

대덕연구단지 연구소 분할 이전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최근 일부 부산·경남 지역 의원들은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을 담은 법안을 발의했다가 철회했다.

또 충청권 의원 일부가 공동 발의에 참여하면서 지역 정치권 내부 갈등도 불거졌다.

이 위원장은 “대덕연구단지는 1973년 조성된 이래 50년 동안 국가 자원과 연구 인력이 집적돼 세계적 첨단 연구단지로 성장했다”며 “연구소를 분리하면 연구 시너지 효과가 떨어지고 효율성도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 분야 간 융합 연구가 필수인 시대에 연구소를 흩어 배치하면 연구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이 위원장은 “국가 핵심 전략 자산을 지역 이익으로 나눠먹는 행태는 잘못됐다”며 “과학기술 패권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상황에서 충청권은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다.

4개 시·도 지사들은 앞서 공동 성명을 통해 연구소 이전과 해수부 이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국민의힘 충청권 시·도당 위원장들은 국회의원과 지방의원들을 모아 전국 여론을 형성할 계획이다.

이 위원장은 “빠르면 이번 주 내에 충청권 국민의힘 주관으로 국회의원과 광역·기초의원들이 모두 모여 전국 여론을 조성할 것”이라며 “세종시와 대덕연구단지의 본래 기획 취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국가적 의제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