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 세종, 충남·북 4개 시도 단체장이 새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에 반대 목소리를 낸 건 당연한 대응이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김영환 충북지사는 19일 오전 세종시 한 호텔에서 만나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움직임에 대해 ‘부적절하고 우려스럽다’는 의견을 내놨다. 4개 시도 단체장은 공조를 강화하고 국정기획위원회에 이런 의견을 전달하기로 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18일부터 사흘간 세종시에서 부처별 업무보고를 받는다.
충청권 4개 시도 단체장은 이날 해수부 이전의 부당성을 조목조목 지적하고 나섰다. 이장우 시장은 "해수부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것은 효율성 측면이나 국가 발전에 도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태흠 지사는 "각 지역에서 필요한 부처·기관들을 달라고 하는 움직임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고 피력했다. 충분히 공감이 가는 대목이다. 관건은 충청권 4개 시도의 대응이 과연 먹혀들 것이냐다. 해수부의 부산이전을 철회하기란 사실상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시절 해수부 부산이전을 공약으로 제시한데다, 취임하자마자 부산이전 준비를 신속하게 추진하라고 지시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발맞춰 부산시는 해수부 부산 이전이 시너지 효과를 내려면 타 부처에 흩어진 기능의 집적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글로벌해양 허브 도시 조성계획’을 지난 17일 발표했다. 해수부 부산이전 작업이 착착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정기획위원회가 어떤 판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최근 국민의힘 서천호(사천·남해·하동) 의원이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우주항공 설치·운영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자 기름에 불을 끼얹은 꼴이 되었다. 충청권에서는 지역에 뿌리내린 국책연구기관을 하나씩 야금야금 빼앗기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그런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 이럴 때 일수록 지역의 역량을 집주하지 않으면 안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