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균형발전 역행” 강력 반발… 전방위 대응체계 구축키로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새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행정수도 세종 완성과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대원칙을 훼손하는 처사라는 인식을 같이하고, 단순한 기능 조정이 아닌 국가 균형발전 미래 구도 자체를 흔들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규정했다.
충청권 4개 시도자시는 19일 세종에서 긴급회동을 가졌다. 이날 회동 자리는 최민호 세종시장의 제안으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동은 새정부 출범 이후 속도감 있게 추진되고 있는 해수부의 부산 이전안과 대전 소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등 연구기관의 경남 사천 이전안에 대한 공동 대응 차원에서 마련됐다.
충청권 4개 시도(대전·세종·충남·충북)는 해수부 부산 이전 등이 현실화할 경우, 국가 균형발전 원칙이 훼손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전방위 대응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이 자리에서 “일부 국회의원들의 항우연 이전 등 입법은 부적절하다, 융합연구 시대에 연구원의 분산은 적절치 않다”면서 “대전·충남 혁신도시는 여전히 수도권과 격차가 크다.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해수부나 항우연 이전 등 국정운영 방향이 우려스럽다. 균형발전, 국정효율성에 부합하는지 의문”이라면서 “4개 시도지사가 공조체계를 구축 힘을 모을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해수부 이전을 비롯한 공공기관 이전이 새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와 부합하는지 심각하게 우려된다. 신중한 정책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이른 시일 해수부 부산 이전안 등에 대한 대응 전략을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충청권 4개 시·도의 ‘공동협력체계’ 강화가 정치권 안팎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균형발전 실현과 지역 주도의 정책 추진을 위해, 하나의 목소리로 대응하는 공격적 전략이 핵심이다.
국회 세종의사당 이전, 대통령 제2집무실 설치, 청주공항 확장, 광역철도 연결 등 굵직한 국가사업이 연계된 상황에서 4개 시·도의 공조 없이는 충청권 미래 전략이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충청권 공동 대응 전략이 필수적이다. 국가 차원의 대형 프로젝트추진은 지자체 간 협력이 전제돼야한다. 향후 충청권 시도지사들의 공조체계 강화가 기대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