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어 우주 연구기관 이탈 움직임
법안 공동 발의 등 지역 정치권 동조 놓고
“내부 총질 아니냐” 비판 목소리도 나와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충청권 소재 정부 기관의 타 지역 이전 시도가 잇따르면서 정부의 '충청 홀대'에 대한 반감과 지역 정치권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에 대한 반발이 사그라들기도 전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의 경남 사천 이전 시도가 등장하면서다.
18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충청권 핵심 인프라와 관련된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충청 패싱'은 ‘지방시대’를 국정 핵심 기조로 내세웠던 윤석열 정부부터 끊이지 않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우주항공청 설립 논의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당초 대전 대덕특구에 밀집한 항우연과 천문연의 연계 효과를 고려해 우주청을 대전에 두자는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정치적 고려 끝에 결국 경남 사천으로 확정됐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이후 등장한 이재명 정부에서도 충청권 홀대는 이어지고 있다.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 행정수도특별법 발의 지연 등 이 대통령의 행정수도 완성 공약이 역행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지역 정치권은 별다른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세종에 본부를 둔 해수부를 부산으로 옮기겠다는 방침을 공식화했을 때, 적극 방어에 나섰어야 할 지역 여당 의원들은 이렇다 할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해수부가 위치한 세종지역 민의의 전당인 세종시의회조차 이전에 반대하는 제대로 된 결의안 하나 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더욱이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해수부 이전에 힘을 실어주는 듯한 언행으로 논란을 자초하기도 했는데 당론에 갇혀 지역구민의 이해를 대변하지 못하는 정치인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불거진 항우연·천문연 이전을 위한 법안 발의 역시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 과정에서 드러나 충청 정치권의 '무기력함'이 맞닿아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국민의힘 서천호(사천·남해·하동) 의원은 항우연과 천문연을 사천 우주항공청 인근으로 이전하는 내용을 담은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문제는 대전과 함께 공동 대응에 나서도 모자를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의원들마저 법안 공동발의에 대거 참여했다는 점이다.
때문에 지역 핵심 공공기관을 타 지역으로 보내는데 충청권 의원들이 동조하고 있는 것으로 비춰지면서 ‘내부 총질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온다.
일각에서는 해수부 부산 이전과 항우연·천문연 이전 시도를 통해 충청권 정치의 민낯이 다시 드러났다는 평가도 나온다.
‘행정수도 완성’과 ‘메가시티 전략’을 외치면서도 정작 정당별 이해관계와 중앙당 눈치에 밀려 지역 기반 수호에는 한목소리를 내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지역 정치권은 더 이상 눈치 보기나 당론 뒤에 숨지 말고 주민 뜻을 앞세워 실력으로 지역 기반을 지켜내야 한다는 요구가 지역민 사이에서 커지고 있다”고 조언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