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학회·토지주택연구원, 대전서 정책토론회 열어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새 정부가 공식 출범한 가운데 그간의 지역·주택 정책 평가와 향후 정책 방향을 살펴보기 위한 논의의 장이 열렸다.
특히 지방소멸 대응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주택 정책의 방향성을 두고 관계 전문가들이 다양한 화두를 제시했다.
한국도시재생학회와 토지주택연구원은 18일 대전 KW컨벤션에서 ‘지방 인구 감소 및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한 지역·주택정책 평가 및 향후 방향 모색’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 등 순으로 이뤄졌으며 박경 목원대학교 명예교수가 ‘일본 지역정책 경험과 시사점’을 주제로 먼저 강단에 올랐다.
이어 박정은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의 ‘지방 중소도시 인구댐 역할 강화방안’, 정기성 LH 토지주택연구원 수석연구원의 ‘새 정부 청년 주거 정책의 방향성 제언’ 등 발제가 이뤄졌다.
종합 토론에는 이영은 LH 토지주택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으로 나섰으며 강현수 중부대 교수(전 국토연구원장), 김옥연 LH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 김항집 광주대 교수, 서수정 건축공간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송우경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정승현 국토교통부 지역정책과장 등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선 수도권 대량 주택 공급 중심의 우리나라 주택 정책 문제점과 주택·일자리 정책의 매치 필요성, 다부처 연계사업을 통한 모범사례 발굴, 청년층 수요 분석과 연계한 주택 공급 등 청년 주거 정책, 정부 정책의 한계 등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이와 관련, 국토부 측에서 참석한 정승현 과장은 인구, 주택, 산업을 융합한 보다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지역균형발전 모델이 시급한 만큼 학계와 현장, 공공 부문이 함께 협업해 이를 만들어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재우 한국도시재생학회장은 개회사에서 “새정부 출범과 함께 지방소멸 대응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그간의 지역·주택정책을 평가하고 향후 5년간 정책 방향과 과제에 대한 종합적 논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