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충청권 5개 지점과 계약해지 통보
대규모 구조조정땐 고용 불안·지역상권 타격
노조, MBK 규탄… 국회에 문제 해결 촉구도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모습. 2025.4.28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모습. 2025.4.28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 사태가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우려가 커지면서 노조는 대주주 MBK를 규탄하며 국회에 노사 협의 테이블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충청권에서도 이미 5개 지점이 계약해지 통보를 받은 가운데, 폐점이 현실화될 경우 고용 불안과 지역 상권 붕괴 등 광범위한 후폭풍 예상으로 긴장된 분위기다.

최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대전·세종·충청지역본부는 홈플러스 천안점 앞에서 폐점 반대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국회가 나서서 MBK와 노동조합, 입점 상인들이 머리를 맞댈 노사정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외에도 노조 측은 국회 및 정치권에 이 같은 요구를 전달하며 MBK 김병주 회장의 국회 청문회 필요성도 함께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최근 더불어민주당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의제에 홈플러스 사태가 오를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홈플러스의 대규모 구조조정이 일어날 경우 민생경제에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홈플러스 노조 측은 전국 126개 매장 중 36곳이 폐점 위기에 있으며 이로 인한 실업자가 33만 명에 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충청권에선 대전 문화점을 포함해 청주 성안점, 천안 신방점과 천안점, 세종 조치원점 등 5곳이 계약 해지 통보를 받은 상태다.

각 매장별 직원은 평균 100명 안팎으로 입점 자영업자와 협력업체 직원 등을 고려하면 수천 명의 생계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다만 당초 이달 12일까지 제출하기로 했던 회생계획안 기한이 내달 10일까지로 연장되면서 폐점 확정 여부는 해당 계획안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장 분위기는 침통하다.

유통 구조조정 직격탄은 지역 상권에 고스란히 전이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대전만 해도 2021년 탄방점과 둔산점, 2022년 동대전점, 지난해 서대전점까지 폐점 수순에 오르면서 5년 새 전체의 절반 이상 매장이 사라진 상태다.

여기에 대전 문화점까지 폐점 수순을 밟게 될 경우 남게 되는 홈플러스 점포는 유성점과 가오점 단 2곳뿐이다.

이마트(2곳), 트레이더스(1곳), 롯데마트(3곳)를 포함한 대전 전체 대형마트도 총 8곳으로 줄어든다.

반면 홈플러스 측은 사태 진화를 위한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입장이다.

전국 68개 임대 점포 중 48개점과는 임대료 인하 가능성 등 협상 여지를 남겨둔 상태며 계약 해지를 통보한 27개 점포 중 7곳과는 재협상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것이다.

홈플러스는 지난 5일 낸 입장문을 통해 “폐점을 최소화하고자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해 임대인들과 협상하겠다”며 “조속한 회생절차 마무리와 경영 정상화를 이루겠다”고 설명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