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사회단체, 교통대-충북대 통합 지지
학과 재배치 추진·첨단 학과 신설 등 촉구

한국교통대학교(왼쪽)와 충북대학교(오른쪽)
한국교통대학교(왼쪽)와 충북대학교(오른쪽)

[충청투데이 김진로 기자] 충주시 사회단체 연합회와 한국교통대학교 총동문회 등 충주지역 37개 시민단체가 충북대학교와의 통합을 지지하기로 의결, 제동이 걸린 통합 절차를 원활하게 진행할 윤활유 역할을 자처하고 나서 결과에 주목된다.

이들 단체는 ‘글로컬 대학 30’ 사업이 학교와 지역사회가 동반 성장하기 위해 거부할 수 없는 정책이라는 판단에서 이렇게 나섰다.

하지만 이들 단체가 양 대학의 통합을 순조롭게 지원하기 위해선 한국교통대·충북대 통합 반대 범시민비상대책위원회의 통합 추진 반대 움직임을 잠재워야 하는 난제를 해결해야 한다.

8일 충주시 사회단체 연합회 등에 따르면 최근 한국교통대와 충북대의 통합 관련, 정기 총회를 열어 양 대학의 통합을 지지하기로 의결했다. 이들 단체는 양 대학의 통합은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균형 잡힌 통합이 진행돼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충주시 교육발전 특구 사업과 연계한 캠퍼스 특성화에 따라 관련된 청주 캠퍼스 학과의 충주 이전을 포함한 학과 재배치 추진과 특성화를 견인할 수 있는 첨단 학과 신설을 주장하고 나섰다.

정부와 자자체의 지원도 촉구했다.

이들은 먼저 교육부를 대상으로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균형 발전에 기반 한 통합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요구했다. 또 충북도와 지자체는 양 대학의 통합을 위해 적극적인 중재와 동참에 나설 것을 요청했다.

특히 이들은 교육부는 통합 이후 글로컬 30 대학 본래 목적에 부합하는 학칙 개정을 통한 인위적인 학과조정 및 부서 조정을 할 수 없도록 통합형 국립대학의 기준안 마련에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는 시민단체들이 대학 간 통합 이후에 통합 합의사항이 담보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전제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충주 시민사회단체의 한 관계자는 "양 대학의 통합을 지지하지만 대학간 합의내용이 담보되지 못한 상태에서 이뤄진 통합은 충주캠퍼스의 경쟁력 약화를 만들어 내고 지역 소멸 위기를 앞당길 수 있다"며 "교통대 총동문회와 충주지역 시민단체는 통합 후 그 목적에 맞게 특성화 대학이 운영될 수 있도록 조속한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해 법리적 근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30일 정부는 ‘글로컬 대학 30’ 사업에서 교통대와 충북대를 통합 승인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에 따라 양 대학은 오는 2027학년 입시부터 통합된 대학을 운영하지 않으면 글로컬 대학 지정이 취소되고 이미 받은 정부 지원금도 환수 될 수 있다.

양 대학이 통합된 대학을 운영하기 위해선 2026년 4월까지 통합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부는 양 대학을 통합 승인 대상에서 제외한 주요 원인은 교명을 둘러싼 지역간 갈등과 학과 통폐합 조정 실패 등으로 지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교육부의 통합 승인 보류와 관련, 통합 반대 범시민비상대책위원회 "지역사회의 뜻이 반영된 작은 승리"라며 환영의 뜻을 밝힌 바 있다.

김진로 기자 kjr60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