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민들 설립 필요성 공감 못해… 미온적
의료계 "치과의사 공급과잉" 부정적 인식

치과의사 국가 실기시험에 응시한 예비 치과의사들이 실기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치과의사 국가 실기시험에 응시한 예비 치과의사들이 실기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충남대학교가 2028년까지 치과대학 설립 청사진을 구체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의료계와 지역사회의 시선을 싸늘하다.

치대 설립 논의가 동력을 잃으며 관심도 식은 가운데 치대 설립에 대한 공론화가 재추진될 경우 치대 설립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앞서 충남대는 2023년 11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 ‘치대 설립 요청서’를 제출하고, ‘대전지역 치과대학·병원 설립을 위한 범시민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치대 설립을 위한 움직임을 벌였다.

충남대 치대는 지역 인재 유출을 막고 충청권 치의학분야 의료체계 개선을 위해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1년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별다른 움직임이 없어 사실상 치대 설립이 무산된 것 아니냐는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

치대 설립을 위해서는 설립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핵심으로 꼽혀왔는데, 결국 공감대를 이끌어내지 못한 것이다.

대전치과의사회 관계자는 "충남대가 치대 설립 요청서를 제출한 이후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며 "이렇다 보니 지역 의료계에서도 충남대 치대 설립 관련 논의도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치대 설립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도 미온적이다.

대전 서구의 한 주민은 "충남대 치대 설립이 왜 필요한 지 잘 모르겠다"며 "치대 설립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으면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여기에 의료계에선 치대 추가 설립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한 실정이다.

익명을 요청한 대전의 한 치과의사는 "치과의사가 공급 과잉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치대 설립을 강행한다면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피해가 환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다"며 "충남대 치대 설립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시선도 많다"고 말했다.

실제 보건복지부 2020년 발행된 ‘보건의료인력 종합계획 및 중장기 수급추계 연구 보고서’를 살펴보면 치과의사 진료일수를 240일로 가정했을 때 2030년 1만 859명, 2035년 1만 3250명 과잉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와 같은 수급 전망에 따라 충남대에서 치대 설립 추진에 박차를 가할 경우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대한치과의사협회 관계자는 "인구 감소에 따라 치과 의료 이용량도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의사 공급 과잉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충남대 치대 설립이 다시 추진된다면 반대 입장을 계속해서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