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연, 환경 유해물질 뇌 건강 상관관계 제시

과불화옥탄산(PFOA)에 의해 유발되는 뇌 염증 유발 기전 설명도.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제공.
과불화옥탄산(PFOA)에 의해 유발되는 뇌 염증 유발 기전 설명도.국가독성과학연구소 제공.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국내 연구진이 환경 유해물질인 과불화옥탄산이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해 뇌 건강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국가독성과학연구소는 가민한 박사 연구팀(융합독성연구센터)이 환경 유해물질로 알려진 과불화옥탄산(PFOA)이 뇌 항상성 유지 및 신경세포 기능조절을 담당하는 별세포를 과활성화해 신경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PFOA는 주방용품, 섬유, 식품 포장재, 소화기 거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과불화화합물 계열의 물질로 체내 잔류성이 높고 분해가 어려운 물질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PFOA가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과 신경 염증 유발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시됐으나 구체적인 작용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규명되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PFOA를 정상 별세포에 노출했을 떼 소포체(세포 내 단백질을 가공하는 기관) 스트레스와 자가포식(노후된 세포 구성요소를 재활용하는 메커니즘) 작용이 발생하며 별세포가 과활성화된 상태를 야기해 신경염증을 유발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PFOA가 뇌에서 소포체 스트레스와 자가포식 경로를 활성화해 별세포의 과활성화와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규명해 환경 유해물질이 뇌 건강이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가민한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PFOA의 신경염증 유도 메커니즘을 밝혀냄으로써 환경 유해물질이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유해물질 노출로 인한 신경 염증 완화를 위한 약물 개발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