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암치료 새 패러다임 제시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악성 뇌종양 중 하나 인 ‘교모세포종’의 진화와 재발의 근본 원인인 ‘전암세포’를 규명해 암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KAIST는 이정호 의과학대학원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교모세포종의 진화와 재발 및 치료 저항성의 근원이 되는 ‘전암세포’를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대표적인 악성 뇌종양으로 광범위한 뇌 절제술을 포함한 표준 치료 후에도 1년 이내 대부분 재발하며 생존율이 매우 낮은 질환이다.
특히 높은 종양 내 이질성(한 종양 내에 다양한 성질의 암세포가 공존하는 현상)은 효과적인 치료전략 수립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하지만 그동안 종양 발생 초기 단계에서 어떤 세포가 암으로 진화되며 이질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서는 그동안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이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암의 씨앗인 ‘전암세포’가 어디에서 유래하는지를 규명했으며 ‘종양 내 이질성 현상을 일으키는 뿌리가 전암세포 때문이라는 점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체성돌연변이를 유도한 자연발생 교모세포종 생쥐 모델을 이용, 종양 발생 전 단계의 전암세포를 단일세포 수준에서 추적했다.
이를 통해 전암세포가 교모세포종 발생 초기부터 존재하며 이들을 조기에 표적화하는 전략이 종양의 진행 억제 및 재발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교모세포종의 전암세포를 표적으로 암 진화와 재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기존의 암세포 자체를 겨냥한 치료에서 벗어나 악성 뇌종양의 근원인 전암세포를 선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암의 진화와 재발을 막는 정밀 맞춤형 치료가 가능할 것이란 평가다.
김현정 의과학대학원 박사(논문 제1저자·현 고려대 의대 교수)는 “전암세포는 종양을 더욱 복잡하고 공격적인 형태로 진화시키는 ‘암 이질성의 씨앗’과 같은 존재”라며 “이 전암세포를 이해하고 표적화하는 것이 교모세포종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