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회 본회의장. 사진=연합뉴스. 
국회 본회의장. 사진=연합뉴스. 

여야가 추가경정예산안(추경)과 4월 임시국회 개회를 놓고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어제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회동을 갖고 추경문제를 논의했으나 서로의 입장차이만 확인했다. 4월 임시국회 의사일장과 관련 민주당은 1일부터 상시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한 반면, 국민의힘은 필요시 합의에 따라 개최하면 된다며 상반된 입장을 펼쳤다. 앞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긴급현안 관련 경제관계장관간담회’에서 10조원 규모의 추경을 추진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산불피해지역 대응을 비롯해 민생지원, 통상 경쟁력 강화 등 시급한 현안이 사적해 있다. 영남지역의 산불로 4만8000ha의 산림이 불에 타고, 75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집이 전소돼 돌아가지 못한 채 대피소에서 생활하는 이재민이 4000명에 이른다. 이들의 일상복귀를 위해 신속한 지원이 긴요하다. 지금 민생경제가 말이 아니다. 소상공인들 사이에 IMF외환위기 때보다 더 힘들다는 얘기가 나온다. 상가에 문을 닫은 집이 수두룩하다. 취약계층은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밖으로 눈을 돌리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통상압력이 거세다.

분야별 구체적 내용은 아직 밝히지 않았지만 대내외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 추경은 필수다. 여야 모두 추경에는 동의한다. 다만 세부적인 부분에서 의견이 엇갈린다. 국민의힘은 정부안대로, 민주당은 추경규모를 늘리자는 자세다. 어떻게 조율할지가 관건이다. 정치적 유·불리를 따질 때가 아니다. 추경은 타이밍이다. 제때 수혈을 하지 않으면 산불피해 주민이나 소상공인, 취약계층의 고통은 커지게 마련이다. 국민들은 절박한데 정치권은 느긋하다. ‘망건 쓰다 장파 한다’는 말이 있다. 정쟁으로 소중한 시간을 허비하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

추경은 충청지역 현안을 관철할 절호의 계기다. 국회에서 삭감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비 반영, 충남 아산경찰병원 건립 사업비 확보, 청주공항 민간 항공기 전용 활주로 신설을 위한 타당성 용역비 등을 꼽을 수 있다.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의초당적 협조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