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공주 캠퍼스 중심 교육 놓고 예산 지역사회 비난 여론 빗발
글로컬·RISE사업 악영향 우려도… “대학측 책임있는 자세 필요”
[충청투데이 강명구·권혁조 기자] <속보>=공주대가 추진하던 내년도 예산캠퍼스 신입생들의 ‘이전 수업’ 계획이 해프닝으로 끝날 전망이다. <25일 자 4면 보도>
예산군을 중심으로 한 지역 정치권·경제계 등의 강한 반발 조짐과 글로컬·RISE 사업 등 대학과 각 지자체의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지역 상생에 앞장서야 할 국립대가 도·시군과 협의도 없이 독단적으로 이전 수업을 추진하면서 비난 여론이 빗발쳤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예산캠퍼스 천안 이전은 임경호 공주대 총장의 공약 사항 중 하나였고, 과거에도 예산캠퍼스 이전 논란이 있었던 만큼 이에 대한 임 총장과 공주대의 명확한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공주대는 지난 18일 2025년도 제3차 교무회의에서 ‘2026학년도 산업과학대학 신입생 모집 및 이전수업 계획(안)’을 심의했다.
당시 계획(안)과 회의록을 보면 공주대 예산캠퍼스에 위치한 산업과학대학의 경우 내년도 신입생부터 천안캠퍼스에서 모집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전공자율선택제 비율 및 전공선택 허용 비율을 결정한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인문사회 및 농·생명자원 계열 학과 229명은 공주캠퍼스, 공학 및 식품 관련 계열 학과 138명은 천안캠퍼스로 (학생을) 이전해 수업을 실시하겠다는 게 골자다.
현재 예산캠퍼스에서 모집했던 학생들을 천안과 공주 캠퍼스에서 모집·교육하고, 예산캠퍼스는 주 1회 집중 수업 등 병행 수업만 실시, 사실상 실습 시설로만 남겨 놓겠다는 것이었다.
특히 문제는 캠퍼스가 위치한 예산군조차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본보 보도 이후 알게 됐다는 점이다.
글로컬 대학 선정, RISE 사업 등 대학과 각 시군은 물론 산학연과도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공주대의 일방적인 이전 수업 추진은 각 지자체의 반발과 불협화음이 우려됐다.
또 공주대는 충남의 대표적인 국립대로 ‘지식의 상아탑’이라 불리는 대학교의 정책이 하루아침에 뒤바뀐 다면 결국 최대 피해자는 학생들인 만큼 이에 대한 학교 측의 책임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는 의견도 있다.
이와 관련해 공주대 관계자는 “예산 캠퍼스의 이전 수업은 논의를 진행 중이었던 것으로 최종 확정된 바는 없다”며 “속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여러 의견이 있어 엄중하게 고민하고, 구성원들과 각 지자체의 의견을 신중히 듣겠다”고 말했다.
강명구 기자 kmg119sm@cctoday.co.kr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