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문·교육문화부 차장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비수도권 대학의 위기를 표현하는 ‘벚꽃이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비유는 어느새 대학가의 속설이 아닌 현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속적인 학령인구 감소로 비수도권 대학의 학생 유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고, 재정난까지 더해지면서 대학들은 ‘생존’을 위한 고민의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비수도권 대학들은 보다 나은 상황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희망과 함께 올해 정부의 움직임을 지켜보고 있다.
정부로부터 5년간 최대 1000억원의 대규모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글로컬대학’ 지정 절차가 마지막 해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당초 정부는 내년까지 30개 대학을 지정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었지만 올해 지정 규모를 종전 5개에서 10개 이내로 확대했다.
때문에 2023~2024년 20개 대학 이외에 글로컬대 진입에 실패한 대학들에게는 올해가 글로컬대에 도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대전지역 대학들 역시 글로컬대 지정을 생존에 필수적인 사업으로 받아들이고 글로컬대 최종 명단에 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글로컬대 예비지정 신청서(혁신기획서) 제출을 앞두고 지난해 통합을 선언한 충남대와 공주대, 연합 모델로 도전장을 낸 목원대.배재대.대전과학기술대 등이 있다.
또 지난해 예비 지정 문턱을 넘은 만큼 준비 절차에 있어 다른 대학에 비해 다소 부담이 덜한 한남대까지 많은 대학들이 글로컬대 진입을 꿈꾸고 있다.
다만 글로컬대 지정이 3년 차를 맞는 동안 대전에는 글로컬대로 지정된 주관 대학이 단 한 곳도 없다는 것은 대학을 넘어 지역 차원에서 아쉬운 대목으로 여겨진다.
글로컬대가 향후 각 권역의 새로운 거점 대학 역할을 하게 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대전은 아직까지 글로컬대와는 거리가 먼 상황이다.
이제 글로컬대 지정 마지막해다. 비수도권 대학 등을 위한 사업이라면 모든 지역이 골고루 혜택을 입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더욱이 글로컬대가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이끌 중차대한 역할을 맡는 것이라면 더 넓게 분포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