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위기, 충청 도약의 기회 삼자]
尹 탄핵 인용땐 5월 조기대선 가능성
충청권 특정정당 지지세 강하지 않아
중앙정치 흐름 따라서 표심 움직임 커
정치적 주도권 확보 X… 현안 성과 미미
지역 정치권 적극적 역할로 도약해야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중앙 정치의 혼란이 깊어지고있는 지금, 충청권이 단순한 정치적 ‘변수’ 지역이 아닌 실질적인 정치적 주체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 인용될 경우 오는 5월 조기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이 커진 상황. 여야의 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만큼 충청권 표심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하지만 선거 때마다 ‘전략적 지역’으로 소비되는 패턴이 반복되면서, 충청의 정치적 입지는 더욱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충청권은 오랜 기간 선거 판세를 좌우하는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왔다.
영·호남에 비해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세가 강하지 않아, 선거 결과를 결정짓는 핵심 지역으로 평가받아 왔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충청권이 독자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기보다는 중앙 정치의 흐름에 따라 표심이 움직이는 경향이 강했다는 점이다.
영·호남에 비해 조직적인 정치 세력이 약한 충청은 선거 때마다 ‘표심 경쟁’의 대상이 될 뿐, 지역 발전을 위한 정치적 주도권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게 대체적 시각이다. 지역 발전을 위한 주요 현안들은 선거철마다 공약으로 등장했지만,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같은 흐름이 반복된다면, 충청의 정치적 역할은 단순한 선거 변수로만 남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충청권 핵심 현안으로 꼽히는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과 대전·충남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문제는 여전히 답보 상태다.
행정수도 이전 문제는 12·3 계엄사태 이후 국가 균형 발전 논의가 다시 불붙으며 재조명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여야 대권 주자들 중 이를 명확하게 공약한 인물은 없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이를 주장하고 있지만, 당내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대표는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국민의힘에서는 한동훈 전 대표가 세종 국회 완전 이전을 공약했지만, 이후 별다른 진전이 없는 상태다.
대전·충남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문제도 마찬가지다. 2020년 혁신도시로 지정된 대전 역세권과 연축지구, 충남 내포신도시는 공공기관 이전이 지연되면서 사실상 ‘무늬만 혁신도시’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에서도 제2차 공공기관 이전 로드맵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대선 정국에서 다시금 공약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이 밖에도 대전 교도소 이전, 충남 육군사관학교 이전, 충북 중부내륙특별법 개정, 청주공항 민간 활주로 증설 등 지역 내 해묵은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하지만 선거철마다 등장하는 공약이 실제 이행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충청권이 단순한 ‘변수’가 아닌 실질적인 정치적 주체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역 정치권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단순히 중앙 정치에 기대는 것이 아니라,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정책을 대권 주자들에게 요구하고 이를 이행하도록 강한 압박을 가해야 한다"며 "과거처럼 선거철에만 주목받고 이후에는 잊혀지는 흐름이 반복된다면, 충청권의 정치적 위상은 점점 더 약화될 수밖에 없다.여전히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