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대비 2023년 참여율 1.4%p↓
기부금 배분율 줄어들 수밖에 없어
취약계층 위한 기부문화 확산 절실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고물가에 탄핵정국까지 겹치면서 기부행렬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기부 감소로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깊어지며 특히 지역 복지계는 ‘기부심리 위축 해소’가 절실하다고 호소한다.
지난 3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기준 대표적 내수 지표인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누계 대비 2.1% 감소했다.
충청권에선 대전·세종·충북의 지난해 1~3분기 소매판매액지수가 전년 동기간 대비 각 2.3%, 1.8%, 1.3% 감소했고, 충남만 0.2% 소폭 증가했다.
문제는 이러한 고물가·고금리 속 소비를 줄이는 흐름이 기부 행렬 감소로 이어지면서다.
실제 2019년까지 기부하지 않은 주요 원인으로 ‘기부단체 불신’이 꼽혔으나 최근 들어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경기 침체가 기부 문화 축소의 구체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탄핵정국으로 기부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하락한 점도 한 몫한다.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사회적인 관심이 대통령 탄핵 여부에 쏠려 연말연시 기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크게 줄어 들었다.
이와 같은 기부행렬 감소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자료를 살펴보면 2023년 기부 참여율은 59.8%로, 10명 중 6명이 기부에 참여했다.
2021년 기부 참여율이 61.2%였던 것과 비교하면 1.4%p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2023년 이후 기부 참여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을 예상하고 있다.
2019년 코로나 발생 이후 마스크와 방역물품 등 기부가 늘어나며 기부 참여가 정점을 찍었고 2023년까지는 그 영향을 받아 증가세를 어느 정도 유지했다.
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오히려 코로나 전보다도 기부 참여가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한다. 복지단체들은 기부가 줄어들면서 그동안 해왔던 기부 프로그램과 사업을 축소하고 기부금 배분을 줄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충청권 지역 복지 관계자들은 기부심리 위축 해소가 절실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지역 복지 관계자는 "기부금액이 줄어들면 그동안 취약계층을 위해 해 왔던 사업들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취약계층을 위한 기부문화 확산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