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왼쪽부터 대전시청, 세종시청, 충북도청, 충남도청. 
왼쪽부터 대전시청, 세종시청, 충북도청, 충남도청. 

내년도 자치단체의 살림살이를 결정할 국회 예산 심의가 속도를 내면서 막바지 ‘국비 쟁탈전’이 치열하다.

각 자치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숙원사업의 정부 예산 반영 여부가 지역 발전을 판가름할 수 있다는 판단에 시도지사는 물론 시장·군수들도 지역과 국회를 오가며 예산 확보를 위한 잰걸음을 하고 있다.

김태흠 충남지사도 20일 지역 발전을 이끌 주요 현안 사업을 들고 국회를 방문,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김윤상 기획재정부 2차관, 구자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여당 간사, 엄태영 예결 소위 의원 등을 잇달아 만나 ‘국비 11조 시대’를 열기 위한 강행군을 이어갔다.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등 충청권 시도지사는 물론 시장·군수들도 내년도 국비 확보를 위해 모든 인맥과 전략을 동원하면서 고군분투하고 있다.

하지만 국비 확보를 위해서는 초당적 협력과 소통이 필수적이다.

자치단체장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지역 국회의원과 정파를 떠난 초당적 협력을 통해 지역 발전을 이끌 현안 사업의 원동력이 될 국비를 확보해야 한다.

특히 충청권은 여당인 국민의힘이 장악한 광역단체장들과는 달리 지역 국회의원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이 대다수라는 점에서 초당적 협력을 더 요구하고 있다.

현재 충청권 28개 선거구 중 21석이 민주당 소속이며 국회 예결위원 중에서도 7명 중 5명이 야당으로, 여야를 아우르는 초당적 접근이 없다면 예산 확보 과정에서 성과를 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지역 발전을 견인할 사업이라도 실행됐을 떄 비로소 성과를 낼 수 있다.

자치단체장과 지역 국회의원들이 초당적 협렵을 통해 지역 발전을 이끌 현안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막바지 국비 확보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충청권 자치단체장과 지역 국회의원들이 ‘국비 확보는 단체장과 국회의원의 성적표’라는 것을 명심하고 초당적 협력과 설득력 있는 명분으로 지역 발전이라는 책임감을 보여 줄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