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근 화재 발생 횟수가 늘고 갈수록 대형화하고 있지만, 소방인력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대전지역 소방공무원 1인당 담당 주민수는 2023년 기준 885명으로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광역시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지역 소방관 1인당 담당 주민수는 2021년 891명, 2022년 887명, 2023년 885명으로 소폭 줄었지만, 이는 소방관 정원 확대가 아닌 주민등록인구 감소에 따른 영향이다.
소방관 1인당 담당 주민수는 구별 편차도 심하다. 대전 동구와 대덕구는 각각 721명, 622명인데 반해 서구와 유성구는 1683명, 1310명으로 2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거주 주민수에 따른 영향이 크지만, 대도심일수록 화재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소방인력 확대가 요구된다. 소방인력은 수년간 그대로인데 오히려 화재 발생건수는 늘고 있다. 대전지역 화재 현황을 보면 2020년 865건에서 2021년 796건으로 감소한 이후 2022년 964건, 2023년 1021건으로 매년 증가세다.
소방 인력 부족과 함께 열악한 처우 개선도 시급하다. 현재 화재 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들은 월 8만원의 화재진압수당을 받는데, 23년째 인상 없이 그대로다. 소방관들이 받는 여러 수당 중 화재진압수당이 도드라지는 까닭은 정치권 탓이 크다. 화재진압수당이라는 이름에서 오는 상징성 때문인지 소방 관련 이슈가 터질 때마다 정치권에선 단골처럼 대폭 인상을 약속했지만, 공염불에 그쳤다.
정부는 그간 대형화재와 소방관 순직자 발생 때마다 소방 인력 확충과 인프라 개선 등을 약속했다. 하지만 매번 예산 부족을 핑계로 소방 행정을 뒷전으로 밀어 왔다. 정부와 정치권은 입버릇처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한다지만 정작 최일선에서 그 약속을 지키는 소방공무원에 대한 처우는 열악하기 짝이 없다. 소방관들이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야말로 국민의 안전을 지킨다는 점을 명심하고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