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 주민 수 전국에서 세번째로 많아
구조·구급 대원 담당 주민 수 마찬가지
구급차 3인 탑승 원칙이지만 2인 출동
인력 부족 심각…수요에 맞게 확충 절실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전국 17개 시도 소방본부 중 대전시 소속 소방공무원이 1인당 담당해야 하는 주민 수가 서울과 경기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년 전 소방관 국가직 전환 이후 지속적인 인력 충원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여전히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시 소속 소방공무원이 1인당 담당하는 주민 수는 885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에서 3번째로 높은 수치인데, 담당 주민 수가 가장 많은 곳은 1인당 1263명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이었으며 경기가 1186명으로 뒤를 이었다.
대전 소방 다음으로는 인천(880명)과 부산(879명) 순으로 나타났고, 이어 광주(877명)와 대구(797명) 순이었다.
구조·구급대원의 1인당 담당 주민 수도 대전이 3331명으로 서울(4230명)과 경기(4229명) 다음으로 많았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을 제외하면 대전 지역 소방 공무원이 담당하고 있는 주민 수가 비수도권에서 가장 많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대전에서 발생한 화재 건수는 1021건으로 2021년(796건) 대비 약 28% 증가하면서 소방대원의 역할이 더 중요해지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아직까지 인력 부족으로 인한 긴급 신고 대응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
대전 관내에서 구급대원으로 활동 중인 한 대원은 “구급차가 출동할 때 3인이 탑승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휴직 등 이유로 많은 센터에서 2인이 출동하는 게 현실”이라며 “소방은 ‘인력’이 중요한 분야다 보니 한 사람만 빠져도 공백이 크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인력난이 초래된 이유 중 하나로 소방 조직의 기형적인 일원화 구조를 원인으로 꼽는다.
소방청이 발족한 지 7년, 국가직으로 전환된 지 4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중앙 정부가 아닌 시도지사에 예산·인사권이 종속돼 있어 ‘무늬만 국가직 공무원’이라는 지적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지자체에서 정원 비율을 정해 소방 본부로 예산을 투입하다 보니 지자체 예산별로 인력이나 화재 진압 장비, 훈련 환경 등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규연 전국공무원노조 대전소방지부 지부장은 “현재 대전은 인구에 비해 소방관이 적은 편이라 정원 비율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며 “국가직이면 예산, 인력 등은 중앙에서 관리하는 게 맞지 않나. 현재는 지역별로 복지도 다른 상태”라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과거와 달리 현재 소방이 사회에 미치는 역할이 확대됐기 때문에 수요에 맞는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황철홍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과거 소방대원의 업무가 화재 진압이 주였다면 현재는 벌집 제거나 반려동물 구조 등 시민 생활안전으로 확대됐다”며 “사회에서 요구하는 안전 수요는 커졌지만, 현재로선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의견을 내비쳤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