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중심 유통환경 변화로 규제 완화
전환 앞서 변수 있어 관계자 합의 필요
대구, 작년 2월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
전통시장·소매업 매출액·시민 만족도↑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공휴일에서 평일로 바꿀 수 있게 되면서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지자체들이 목하고심에 빠지고 있다.
평일로 전환하기 위해선 전통시장, 마트 노동자 등 이해관계자들과의 합의를 거쳐야 하지만 골목상권 보호, 주말 휴식권 보장 등 여러 변수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앞서 주말 의무 휴업일을 평일로 전환한 지자체 사례를 주목하고 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은 2012년부터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됐다.
하지만 최근 유통환경이 온라인 시장 중심으로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경쟁보다는 상생의 파트너라는데 공감대가 형성됐고 정부도 규제 개선 차원에서 ‘대·중소유통 상생협의회’를 발족해 주말 의무 휴업 폐지에 힘을 실었다.
이 같은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대구가 지난해 2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전환했다.
그동안 강원 원주·강릉·삼척시 등 시군 단위의 작은 지방자치단체 일부에서는 주말 영업을 허용한 적이 있지만 대도시에선 평일로 전환한 첫 사례다.
대구에 이어 충북 청주도 주말 휴업 폐지에 동참했다.
청주는 지난해 4월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발족한 이후 마트 근로자 의견 수렴 및 시민 여론 등을 절차를 거쳐 5월부터 의무휴업일을 주말에서 평일인 수요일로 변경했다.
올해 1월에는 서울 서초구가, 2월에는 동대문구가 의무 휴업일을 평일로 전환했고 4월에는 부산시 수영구 등 4개 구·군도 전환을 마쳤다.
대전을 비롯해 경남 김해 등도 현재 이해관계자들과의 의견 수렴 과정을 진행 중에 있다.
대구 사례를 보면 주말 의무 휴업 폐지에 힘이 실리고 있다.
대구가 주말 휴업 폐지 후 6개월간의 효과 분석 결과 전통시장과 주요 소매업의 매출액이 모두 증가하는 등 지역 상권 전체가 활성화되고 시민들의 쇼핑 편익성과 만족도도 상승했다는 주장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6개월 간 매출액은 전통시장 32.3%, 음식점 25.1%, 소매업 19.8%로 각각 증가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 8개 구·군이 동시에 주말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전환한 것은 전국 최초 이자 시가 선도적으로 추진한 시민생활 밀착형 규제개혁의 성공사례"라며 "지방규제 혁신 경진대회에서도 최우수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평일 전환 지자체들은 대구 사례에 비춰 이해관계자들과의 원만한 합의점 찾기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충청권에서는 충남 보령과 계룡은 이미 일요일이 아닌 수요일을 의무 휴업일로 하고 있다.
보령의 경우 대천해수욕장과 같이 큰 관광지가 있다 보니 주말에 여행을 오는 수요가 많고 계룡시도 군부대가 밀집하다 보니 주말 수요가 크기 때문이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