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각각 154억·112억 적자 기록
운영자금 융자 이자 충북도가 보전
“어려움 누적땐 공공의료 기능상실”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북지역 공공의료기관인 청주의료원과 충주의료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환자 급감으로 발생한 경영난이 현재진행형인 것이다.
의료원들은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지역개발기금에서 융자를 받았는데 전담병원 지정 해제 후에도 융자금 이자 감당도 벅차 충북도의 도움을 받아야 할 정도로 경영 회복은 더디다.
이 때문에 공공의료 기능 상실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1일 충북도와 충북도의회, 청주·충주의료원 등에 따르면 청주의료원과 충주의료원은 지난 2020년 1월 20일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행한 후 단시간에 감염이 급속 확산하자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됐다. 이로 인해 환자를 받지 못하면서 경영상태 악화가 시작됐다.
청주의료원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4억 500만원 흑자였지만 지난해엔 154억 7000만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충주의료원은 5000만원 적자에서 무려 112억 7000만원으로 적자폭이 크게 늘었다.
청주의료원의 연평균 환자수는 2017년부터 1019년까지 21만 4000여명에 달했는데 지난해엔 9만 8000여명으로 절반 넘게 줄었다. 충주의료원은 10만여명에서 지난해 4만 2000여명으로 뚝 떨어졌다.
2017∼2019년 매년 평균 병상 이용률은 청주의료원 90.1%, 충주의료원 91.2%였던 반면 지난해엔 각각 46.1%, 38.6%에 불과했다.
올해 6월 기준으로는 청주의료원 50%, 충주의료원 58.4% 등 회복세이지만 코로나19 사태 전과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청주의료원과 충주의료원은 지난해 5월 11일 정부가 코로나19 엔데믹을 선언한 지 6개월 후인 연말에 지역개발기금에서 각각 120억원, 100억원을 3% 이자에 5년 거치 10년 균등상환 조건으로 융자를 받았다.
충북도는 올해 이 융자금 이자 6억 6000만원을 보전해주기 위해 충북도의회에 이자상환지원 출연 동의를 요청한 상태다.
충북도는 앞으로 5년 거치 기간 이자(33억원)만 지원하기로 방침을 정해 나머지 상환기간 발생하는 이자는 모두 의료원들이 부담해야 한다.
충북도는 두 의료원의 코로나19 대응 손실분에 대한 국비 지원을 중앙정부에 지속 건의할 계획이다. 이상정 충북도의원은 "청주의료원과 충주의료원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헌신의 결과는 경영난 초래"라면서 "현재의 어려움이 누적된다면 공공의료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