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지천댐·단양 단양천댐 기후위기 대응댐 우선후보지 제외
환경부, 반발있던 지역 전부 제외
12월 최종후보지 포함 가능성 有
만성 물부족 해결할 마지막 기회
道 “주민 공감대 형성 최선다할 것”

구상 충남도 환경산림국장이 23일 도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환경부의 기후위기대응댐 후보지 발표와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권혁조 기자.
구상 충남도 환경산림국장이 23일 도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환경부의 기후위기대응댐 후보지 발표와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권혁조 기자.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충남 청양 지천댐과 충북 단양 단양천댐이 환경부의 기후위기대응댐 우선 후보지 발표에서 제외됐다.

내년도 예산안 반영 등을 위해서는 오는 12월 중 환경부의 기후위기대응댐 최종 후보지 발표가 예상되면서 만성 물 부족 사태를 겪고 있는 충남도의 댐 건설은 12월이 사실상 마지막 기회가 될 전망이다.

23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22일 전국 17개 광역단체에 신규 댐 건설 후보지안을 포함한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을 발송했다.

이에 따라 경기 연천군 아미천댐과 강원 삼척시 산기천댐 등 10곳을 후보지로 확정하고 댐 건설을 우선 추진한다.

반면 충남 청양군 지천댐, 충북 단양군 단양천댐, 강원 양구군 수입천댐, 전남 화순군 동복천댐 등 4곳은 후보지 확정 대상에서 제외했다.

지난 7월 전국 14곳의 기후위기대응댐 후보지(안) 발표 이후 지천댐, 단양천 댐 등 주민들의 반발이 있던 지역은 모두 제외된 것이다. 이와 관련 구상 충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환경부의 이번 발표는 댐 건설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된 지역부터 후보지로 확정해 우선 추진한다는 것"이라며 "주민 반대가 있는 지역은 공감대가 형성되면 후보지에 포함해 향후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것이 환경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발표에 포함된 후보지 10곳은 관리계획 확정, 예비타당성 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청양 지천댐과 단양 단양천댐 등 4곳은 댐 건설에 대한 주민 공감대가 형성되면 최종 후보지로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청양군 일부 주민들을 중심으로 지천댐 건설 원천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은 2개월 안에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특히 충남은 만성 물부족 사태를 겪고 있고, 풍부한 유량과 유역 등 지천만이 유일한 도내 댐 건설 적합지라는 점에서 이번 지천댐 건설이 무산될 경우 이로 인한 피해는 도 전체에 미칠 수밖에 없다.

현재 충남에서 하루 물 공급 가능량은 206만t이 가능하지만, 도내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양은 보령댐 28만 5000t, 지방상수도 11만 7000t 등 19.8% 수준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충북 대청댐(108만t), 아산호(52만 2000t), 전북 용담댐(5만 6000t) 등 외부에서 끌어다 쓰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2027년부터 도내에서 필요한 하루 물 수요량은 210만t이 될 것으로 예상돼 물 수요가 공급량을 앞지르기 시작하고, 2035년 도내 하루 물 수요량은 244만t까지 치솟아 하루 17만 8000t의 물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최종후보지 발표에 포함되지 못하면 댐 건설은 사실상 물 건너가고, 만성 물 부족 사태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과거 지천 댐이 3차례나 무산됐다는 점에서도 다음 최종 후보지에 포함되지 못하면 또 언제 기회가 올지 알 수 없다"며 "오는 25일 부여군 간담회가 있고, 청양 주민들도 설명회를 요구해 환경부와 일정을 조율하는 등 환경부와 도는 주민들과 공감대 형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충남 청양 지천댐 건설 예정지 충남 청양군 장평면 화산리 지천댐 건설 예정지 [촬영 한종구 기자] 사진=연합뉴스
충남 청양 지천댐 건설 예정지 충남 청양군 장평면 화산리 지천댐 건설 예정지 [촬영 한종구 기자]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