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기존 이미징 기술 한계 극복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기존 이미징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살아있는 오가노이드를 고해상도로 실시간 동적 변화를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KAIST는 물리학과 박용근 교수 연구팀이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 교정 연구단 연구팀과 ㈜토모큐브의 협력으로,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을 활용해 살아있는 소장 오가노이드를 실시간으로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는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존의 이미징 기법들은 살아있는 오가노이드를 장기간 고해상도로 관찰하기 위해선 형광 염색 등의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염색 없이도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세포 손상 없이 오랜 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동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을 도입했다.
연구진은 실험용 쥐 소장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이 기술을 검증한 결과 오가노이드의 성장 과정과 세포 분열, 세포 사멸 등의 동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포착했다.
또한 약물 처리에 따른 오가노이드의 반응을 정밀하게 분석해 세포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이만재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이미징 기술로, 향후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질병 모델링, 환자 맞춤형 치료 및 신약 개발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1일 국제 학술지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에 온라인 게재됐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