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36% 부담… 나머지 64% 정부 몫
국회 심의과정 건축 예산 반영 기대

KAIST 부설 AI 바이오 영재고 조감도[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AIST 부설 AI 바이오 영재고 조감도[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북도와 정부 간 청주시 오송읍에 들어서는 카이스트(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 건립비의 국비와 지방비 분담률 협상이 타결됐다.

6일 충북도에 따르면 충북도와 기획재정부가 총사업비의 36%를 충북도가 부담하고, 나머지는 기획재정부가 내는 것으로 최근 합의했다.

충북도는 이 합의로 올해 안 실시설계 착수와 함께 국회 예산심사 과정에서의 정부의 내년 예산안에 빠진 건축비 반영을 기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사업 대상에 선정되고, 설계비 31억여원까지 확보돼 순항이 예상됐다.

하지만 기획재정부가 사업비를 절반씩 부담하자고 요구하면서 개교 지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지역에서 나왔다.

AI 바이오 분야 미래를 선도할 고급인재 조기양성이 목적인 AI 바이오 영재고 사업은 현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인데, 학교는 오는 2027년 개교를 목표로 오송읍 연제리에 부지면적 2만 2500㎡, 연면적 1만 5990㎡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충북도는 당초 50억원 상당의 부지를 포함해 전체 사업비의 30%를, 정부가 70%를 각각 부담하자고 요구하며 기획재정부와 협상을 진행했지만 진척은 보이지 않았다.

분위기 반전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5일 광주광역시 소재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AI 영재고를 직접 챙기겠다고 발언한 이후라고 한다.

당시 윤 대통령은 "광주에 AI 영재고가 2027년 차질 없이 개교하도록 제가 직접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말했다.

이번 합의로 충북도의 몫은 210억원 정도이다. 이는 지방비이다.

충북도는 이를 충북도교육청, 청주시와 함께 마련하기로 하고 분담률 실무협의에 나섰다.

충북도는 오송 AI 바이오 영재고가 교육시설인 만큼 충북도교육청과 청주시가 상대적으로 큰 비율의 분담을 바라고 있다.

이와 관련, 청주시는 빠듯한 재정 상태를 이유로 난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주시는 현재 현금을 제공하는 저출생 대책을 놓고 충북도와 각을 세우고 있어 청주시의 사업 참여 여부가 관심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KAIST는 정부와 예산 분담 합의가 되면 곧바로 실시 설계에 착수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청주시와 충북도교육청과의 지방비 분담률이 원만하게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