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강내면 궁현리 주민 반발에 4월 자진 철회
2곳 모두 수도권 대형업체 자회사… 이름만 바꿔

기사와 관련없는 참고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제공. 
기사와 관련없는 참고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제공.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청주지역에 레미콘 공장 허가 신청 과정에서 반발이 일자 자진철회한 업체와 재신청한 업체 모두 수도권 대형업체의 자회사로 사실상 같은 업체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꼼수’ 논란이 일고 있다.

청주시 등에 따르면 A업체는 지난 7월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궁현리 257 일원에 레미콘공장 신설을 위해 공장신설등록 신청서를 제출했다.

시는 이에 따라 관련부서 협의를 거쳐 공장 설립을 위한 일부 보완사항을 통보하는 등 행정절차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A업체는 수도권에 본사를 둔 레미콘업체 자회사로, 지난 4월 같은 부지에 공장신설 허가를 신청했다가 자진철회한 B업체와 사실상 같은 업체라는 게 청주지역 관련업계의 입장이다.

B업체는 지난 4월 같은 부지에 같은 내용의 레미콘공장 신설허가를 신청했다가 청주지역 관련업계와 인근 주민 반발에 부딪히자 허가 신청을 자진철회했다.

이후 민원이 잠잠해진 틈을 타 사업자만 바꿔 동일한 지역에 동일한 내용으로 공장 신설허가를 신청, 관련업계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수도권에 본사를 둔 S업체는 경기 남부지역에 4개소, 충남지역에 1개소, 부산지역에 1개소 등 자회사를 전국적으로 설치하며 영업권역을 확대하고 있다.

각 지역 사업장도 사실상 본사의 공장 체제임에도, 법인명을 S기업, S콘크리트공업, S산업개발, S산업, S씨엠, S도시개발 등 지역마다 별도법인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S업체 홈페이지를 보면 모든 자회사를 S업체의 지역공장으로 표기, 사실상 같은 업체임을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대형 업체가 여러 지역에 공장을 설립·운영할 경우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업체보다 물량이나 가격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밖에 없어 지역업체의 경영난 가중이 우려된다.

청주·세종·진천지역 업체를 중심으로 구성된 청주레미콘제조사협의회가 A업체의 공장 신설 추진에 강력 반대하고 나선 배경도 이 때문이다.

협의회는 "지난 4월 공장 신설 허가 신청 후 지역업계와 주민 반발이 거세지자 자진철회한 뒤 사실상 같은 업체임에도 업체 명의만 바꿔 슬그머니 재신청한 것은 지역주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비판하고 있다.

대형업체가 지역공장 형태로 영업권역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면 상대적으로 경영 규모가 열악한 지역업체는 고사될 수밖에 없는 만큼 지역업체 보호를 위한 제도적 강화가 필요하다는 게 협의회의 입장이다.

2022년 280만㎥이던 청주권 레미콘 수요량은 지난해 14.3% 줄어든 데 이어 올들어 상반기 5% 감소하는 등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