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피해 접수사례 2492건 확인 결과
학교 구성원 5명중 1명 직·간접 피해 경험
범정부 차원 지원 방안·매뉴얼 보급 필요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 사진=연합뉴스 제공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 사진=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교원단체의 학교 딥페이크 성범죄 조사 결과, 충청권에서만 63건의 직·간접 피해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은 긴급 점검과 실태조사에 착수해 27~28일 총 2492건의 신고를 접수 받았다.

접수 사례를 확인한 결과 2492건 중 517건의 사례가 직·간접 피해로 확인됐다.

집계된 직·간접 피해자는 교사 204명, 학생 304명을 포함해 517명에 달한다.

이는 전체 응답자의 20%에 육박하는 비율이다.

학교 구성원 5명 중 1명 꼴로 불법합성물 성범죄의 직간접적인 피해를 당하고 있는 것이다.

전국적 범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이번 사건으로 인해 학교 현장에 큰 충격에 휩싸이고 교육 활동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충청권의 경우 총 276이 접수됐으며 63건의 직·간접 피해 사례가 확인됐다.

직접 피해는 피해자가 유포된 본인의 합성물을 확인한 상황이고, 간접피해는 피해자가 직접 확인하진 않았지만 온라인상 떠돌고 있는 합성물이 있다는 사실을 타인에게 전달 받은 상황을 뜻한다.

대전은 32건 접수돼 간접피해 7건이, 세종은 6건 접수돼 간접피해 1건, 충북은 111건 접수돼 30건 간접피해, 충남은 127건 접수돼 24건 간접피해 및 1건 직접피해로 분류됐다.

전교조는 디지털 성범죄로 인한 국가적 재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대응과 긴급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교조 관계자는 “교육부가 현황 파악에 나선 것은 다행이지만, 이미 피해가 급속도로 확산한 상황에서 뒤늦게 파악에 나선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입장을 표했다.

이어 “이번 불법합성물 성범죄 사안에 대한 관계 부처의 상황 인식도 안일하고, 대응 속도도 지나치게 늦다는 것이 현장의 중론”이라며 “정부가 밝힌 피해자 보호 조치사항에는 수사 기관과의 연계 방안, 법률 지원 방안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이미 각 학교들에서 피해자를 어떻게 지원해야 할지 몰라 큰 혼란을 겪고, 피해자들에게도 어떤 방식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안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만큼 구체적인 지원 방안과 매뉴얼 보급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