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프레온 가스, 수소불화탄소등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냉매 대신 공기를 냉매로 활용하는 냉동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프레온 가스, 수소불화탄소등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냉매 대신 공기를 냉매로 활용하는 냉동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프레온 가스, 수소불화탄소등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냉매 대신 공기를 냉매로 활용하는 냉동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진은 공기 냉동 방식에 사용되는 일체형 초고속 컴팬더를 개발하고 국내 최초로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개발된 시스템을 사용하면 공기를 냉매로 활용해 영하 60도의 온도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냉동·냉각 시스템에는 주로 증기 압축식 사이클 방식이 사용됐다.

증기 압축식 사이클 방식은 구조와 설계가 간단해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지만 지구온난화를 촉진하는 불화온실가스를 냉매로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공기를 냉매로 하는 역-브레이튼 사이클의 냉각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액체를 증발시키는 기존 방식과 달리 기체를 압축하고 열교환과 팽창을 거쳐 저온의 기체를 만드는 방식이라 액체 냉매 없이도 냉각이 가능하다.

개발된 컴팬더를 적용한 냉각 시스템은 한 시간 만에 공기를 영하 60도 이하로 냉각하는데 성공했다.

영하 50도 이하의 냉열을 생성할 때는 기존의 증기 압축식 시스템보다 냉동 효율도 더 높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