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 인구·취업자수 증가율 간 상관관계 높아
송 군수 “지방 기업투자 등 파격적 국가정책 必”
[충청투데이 이용민 기자] 진천군의 취업자수 증가가 전국 최상위 수준의 인구증가세를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소멸을 막기 위한 해법으로 기업의 지방 투자를 지원하는 국가적 차원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따르면 최근 8년간(2015년 말~2023년 말) 진천군의 취업자 수 증가율은 전국 시군 중 8위인 39.37%(16,300명)으로 나타났으며 군 단위 지역 중 가장 높다.
같은 기간 진천군의 인구증가율은 26.88%(18,273명)를 나타내 전국 비 광역시 시군 중 인구증가율 7위이며 군 단위 지역 중 1위에 올랐다.
진천군이 국가통계포털 인구통계 및 지역별 고용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전국 157개 시군지역 인구와 취업자 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최근 8년간 인구증가율과 취업자 수 증가율 간의 상관계수는 0.96으로 나타났다. 상관계수는 1.00에 가까울수록 두 변인의 관련성이 큰 것으로 본다.
인구증가율과 취업자 수 증가율의 상관관계는 비수도권(0.867)보다 수도권(0.985)이, 군 단위(0.846)보다는 시 단위(0.967) 지역이 더욱 높은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진천군은 비수도권에서도 군 단위 지자체로서 이례적으로 상관계수가 높다.
군은 질 높은 일자리 환경이 대규모 취업자 수 증가를 동반한 큰 폭의 인구증가를 이뤄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진천군의 상용직 근로자 비율은 전국 시·군 중 6번째로 높은 82.8%를 나타냈으며 상위 10개 지역 중 군 단위 도시로는 유일하다.
상용직 근로자 비율은 해당 지역의 고용시장의 안정성과 일자리의 질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지표다.
안정적 일자리,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 구조의 고용시장이 조성되면 근로자 유입이 이뤄지며 직주일치 기반의 인구증가 효과가 발생한다.
군은 우량기업의 투자를 유치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청년들을 끌어들임으로써 선순환적 인구증가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 8년간 13조원에 육박하는 투자유치를 이끌어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송기섭 진천군수는 “지방인구 증가의 핵심 관건은 결국 양질의 일자리를 얼마나 파격적으로 늘릴 수 있냐는 것”이라며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방의 기업 투자가 활성화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정책을 더욱 파격적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민 기자 lympu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