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강제경매·시행사 임원사망… 현재 부지확보도 못해
시 “지연 확인… 기간 연장·시행자 변경 등 올해 안 재검토”
[충청투데이 송휘헌 기자] 민자 사업으로 진행되는 한국전통공예촌 복합문화산업단지 조성사업(이하 공예촌 조성사업) 관련 부동산 강제경매, 사업시행사 임원 사망 등 악재가 잇따라 당초 계획한 2025년에 준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2일 청주시에 따르면 공예촌 조성사업은 상당구 미원면 쌍이리 213-2번지 일원에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전통공예공방, 공예 전시·판매장, 공연장, 공예기술양성소 등 국내 최초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으로 조성되는 문화산업단지다.
사업은 ㈔한국전통공예산업진흥협회의 100% 민간자본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업비는 628여억원이 투입된다.
내년도 준공이 당초 목표지만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해 현재 부지 확보(토지 보상)도 마치지 못한 상황이다.
앞서 지난해 5월 공예촌 사업 부지 35필지에 대한 부동산 강제경매 개시 결정이 내려져 사업이 지연됐다. 부동산 강제경매 개시 결정은 공예촌 사업 투자자 A 씨의 채무 관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A 씨의 일부 변재 등 합의를 통해 문제가 해결되는 듯했으나 또 다른 B 씨의 채무 관계로 인해 지난 3월 공예촌 부지 부동산 강제경매 개시 결정이 내려진 상태다.
현재 B 씨의 채무 관계로 인한 법원 절차를 진행 중에 있어 사업이 지연될 것이 우려되며 경매 기일은 정해지지 않았다. 경매 기일은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6개월~1년 안쪽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사업시행사인 한국전통공예산업진흥협의 협회장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병환을 앓다가 지난 2월 사망해 장기간 업무 공백이 발생했다는 후문이다. 협의회는 지난 3월 새 협회장을 선출해 협회는 내년까지 이 사업을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부지확보, 설계, 공사 등 물리적인 시간이 촉박한 상태로 내년 준공은 어려울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또 PF대출 등의 어려움으로 계속해 자금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시는 사업 진행 추이를 지속해서 확인 뒤 올해 안으로 방향을 새로 정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시 관계자는 "부동산 강제경매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 협회장의 병환으로 인한 공백 등 사업 지연의 문제가 발생한 것은 사실"이라며 "사업시행사인 협회와 내년까지 준공 등 변경 승인이 된 상태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사업기간 연장, 사업시행사 변경 등 사업 방향을 올해 안으로 다시 정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공예촌 조성사업은 지난 2021년 10월 문화산업단지 승인과 고시로 본 궤도에 진입했다. 공예촌은 당초 2022년 단지를 조성할 예정으로 시작됐으나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 등 PF대출 등 자금 확보가 어려워 2025년까지 사업기간이 연장됐다.
송휘헌 기자 hhsong@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