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 폐업 상점에 각종 고지서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폐업 상점에 각종 고지서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청권 기업들의 파산 신청건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기업들의 파산 신청수가 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회사 경영이 어렵다는 뜻이고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는 것은 경제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실제로 기업들은 하루하루 살기위한 힘겨운 생존싸움을 펼치고 있다. 경기 침체 장기화가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 위기만이 지역 경제를 휘감고 있다. 실제 대전, 세종, 충남 기업이 대전지방법원에 파산을 신청한 건수는 2020년 71건, 2021년 85건, 2022년 80건, 지난해는 109건을 기록하면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들어서는 지난 5월까지 파산신청 건수는 62건인데 예년 기록을 훌쩍 뛰어넘었다고 한다. 이대로 가다가는 지난해 최대치를 손쉽게 갈아치울 기세다. 심각한 것은 힘들다고 했던 2020년 상반기 코로나때 43건보다도 많다는 점이다.

눈에 띄는 수치는 또 있다. 올해 파산 신청 건수가 회생 신청을 추월하는 ‘데드크로스’ 현상을 보일 가능성이 커져만 가고 있다. 지난 5월까지 회생 신청 건수는 41건으로 파산 신청 62건 보다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예년에는 회생신청 건수가 많았지만 올해는 회생보다는 파산을 선택하고 있다. 사업을 지속하는 것보다 청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기업들은 판단하고 있다. 참으로 심각하다.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는 반증일 것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경제 붕괴까지 걱정해야 할 판이다. 당국은 세금과 부담금 인하, 금융지원 등 다각도의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경제 선순환 고리가 손상된 상황에서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될 위기에 놓였다. 이것이 현실이다.

기업들은 자구책으로 이 난국을 타개할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비용절감, 사업구조조정 등 경영리스크 관리 말이다. 하지만 그들에게만 맡겨서는 안될 일이다. 다양한 혜택들이 우량기업들을 대상으로만 한정돼 있어 정작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들은 제외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지금은 전수조사를 통한 핀셋지원이 필요할 때다. 회생 가능성이 없는 기업들에게는 탈출구를 마련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고 살릴수 있는 기업들은 살려야 한다. 그래야 위기를 기회로 바꿀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