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근 대전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개인정보를 노린 해킹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시민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해킹으로 유출된 자료는 민감한 개인정보가 상당수라는 점에서 2차, 3차 피해가 우려되는 엄중한 사안이다. 경찰청은 대전에서 대형병원과 국제검진센터, 치과병원을 운영하는 선메디컬센터(영훈의료재단)에 대한 해킹 공격을 수사 중이다. 실제 자신을 워페어라고 밝힌 해커가 지난해 5월 선메티컬센터 이용자 개인정보 등을 커뮤니티에 공개했고 피해 규모만 20만명이라고 한다.
경찰은 해당 해커가 법원과 검찰, 경찰 등 40명의 개인정보를 공개했는데, 해당 정보 역시 선메디컬센터 해킹으로 유출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얼마 전 대전 성심당 온라인 쇼핑몰도 해킹을 당해 일부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알려졌다. 최초 성심당 측은 개인정보 유출 정황이 없다고 밝혔으나, 보안기업의 확인 결과, 현재까지 190여명의 네이버 계정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됐다. 공공기관도 예외는 아니다. 정부 합동조사 결과, 북한 해킹조직이 지난해 2월부터 2년 넘게 법원 서버를 해킹한 사실이 확인됐다.
법원에서 해킹으로 유출된 정보는 1014GB에 이르는 방대한 규모로 자필진술서, 혼인관계증명서, 진단서, 이름, 주민등록번호, 금융정보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상당수 포함됐다. 민감 정보를 다루는 공공기관부터 민간기업에 이르기까지 해킹 사건이 빈발하는 이유는 개인정보 관리의 허술함과 보안의식의 부재이다. 개인정보 유출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넘어 국가 안보와 직결될 수 있는 매우 중대한 사안임을 명심해야 한다.
해킹 피해를 막기 위해선 공공기관은 물론 기업 모두 보안 강화에 대한 투자를 아까지 말아야 한다. 다만 철저한 보안체계를 갖추는 데는 적지 않은 비용이 수반되는 만큼 중소 규모 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폭넓은 지원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부도 사이버보안 관련 법안과 정책에 미비점이 없는지 꼼꼼히 살피고, 공공기관의 보안체계 점검과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한 책임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는 개인은 물론 기업과 정부 등 모든 사회구성원의 책무이며, 정부는 국민이 보다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 디지털 환경 조성에 보다 적극 나서야할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