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시리즈] 醫-政 싸움에 새우등 신세 공보의
上. 역할 증대에도 지원 급감
中. ‘묻지마 파견’ 의료계 들러리 역할
下.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
下.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
장기 복무 부담에 ‘지원 기피↔부족’ 악순환
업무 많은 농어촌보다 도심 근무 선호 현상
최근엔 병사 월급 인상 추진에 차별화 없어
전문가 "국방·보건차원 관련제도 전반 개선"
[충청투데이 장예린 기자] 현재 전국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공중보건의사(공보의)의 인력보충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의료취약지역에 위치한 보건기관의 경우, 부족한 공보의 수로 인해 의료서비스가 열악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각 보건소에서 복무중인 공보의들은 지원자가 감소하는 원인으로 장기 복무 기간을 손꼽았다.
현재 육군 현역병 의무 복부 기간은 18개월이지만, 공보의 의무 복무 기간은 36개월로 2배나 된다.
청주시의 한 보건소에서 복무중인 의과 공보의 A 씨는 "요즘은 복무기간이 긴 공보의 보단 현역을 많이 가는 추세"라며 "후배들만 봐도 무조건 카투사를 먼저 지원하고, 카투사가 안 되더라도 현역을 갈 정도"라고 말했다. 또 다른 공보의는 "현재 공보의들의 처우가 좋지 않아 현역으로 많이 가다보니 자연스레 공보의가 부족해지는 것"이라며 "특히나 공보의들 사이에서도 도심지역이 아닌 농어촌지역에는 업무 부담이 큰 것을 알고 있어 더욱 공보의 지원을 피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보의들은 거주지역과 가까운 곳이나 도심지역의 복무를 선호한다"며 "서울지역 등 자리가 줄어드니까 공보의 지원을 더 안하게 된다. 때문에 자연스레 농어촌지역은 공보의 지원수는 부족하고, 공보의 보충이 어렵게 된다"고 말했다.
최근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병사들의 급여 인상도 한 원인이라고 한다.
병사 급여마저 인상된다면 그들과 차별화된 이점이 없어 공보의들의 지원은 더욱 줄어든다는 것이다.
도내 근무하는 한 공보의는 "최근 정부가 병사월급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만약 급여 차이마저 줄어들면 지금보다도 공보의 지원은 더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충북도는 이와 관련, 단기적인 대책마련으로 공보의들의 순회진료와 비대면진료 활성화를 제시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중앙에 공보의 요청을 계속 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워낙 신규 편입인력이 적어 반영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현재는 요일제로 보건지소마다 순회진료로 운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의료취약지역의 의료인력이 부족한 상황을 알고 있지만, 줄어드는 공보의 지원에 손쓸 방법이 없다"며 "여러 개 보건지소를 통합하거나 보건지소 기능을 건강사업 등으로 전환하는 등 장기적 대책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김성수 청주대학교 교수(의료경영학과 교수)는 "현재 공보의들의 처우개선을 위해선 복무기간을 줄여줄 필요가 있다"며 "복무기간 뿐만 아니라 급여 등 처우 개선도 필요한 상황으로 국방부와 보건복지부에서 전반적으로 관련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
장예린 기자 yerinis6834@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