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과학기술 정책 공유회 개최
인구·고용·기술 등으로 동력 잃어
지역 주도·협력 질적 성장 제언도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정부와 지자체, 과학기술계가 수도권과 지역 간 과학기술 불균형 해소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과학기술계는 지역에서 주도하는 과학기술혁신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질적 성장을 이끄는 혁신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대전 신세계 엑스포타워에서 ‘지역과학기술 정책 공유회’를 개최했다.
정책 공유회는 과기정통부, 지방시대위원회, 특구재단, 전국 17개 연구개발지원단, 연구소기업 등이 함께 모여 지역 R&D 혁신 관련 정부의 정책 방향 및 성과 공유와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을 위한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정책 공유회에서 강조된 것은 ‘수도권과 지역 간 불균형 해소’였다.
참석자들은 인구, 고용, 양극화 심화, 과학기술 역량 불균형 등으로 지역 성장 동력이 정체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정현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은 “과학기술진흥은 지방 소멸을 막는 제1정책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지방에 위치한 대학교, 연구기관에서 양성한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가버리는 상황”이라며 지역 과학기술정책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과학기술정통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균형 해소를 위한 ‘지역의 질적성장을 이루는 과학기술 지역 혁신의 방향’을 제시했다.
고정호 과기정통부 지역과학기술진흥과 과장은 “지역 R&D 투자와 지역의 연구개발 주체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과학기술 역량평가를 해보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지역 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양적인 것을 넘어 실질적인 질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선택과 집중 △지역 주도 △지역과 동행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고 과장은 “지역혁신기업을 집중 육성해 세계적인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대규모 R&D 지원, 스케일 업 확대를 비롯해 지역 주도 R&D 이어달리기 지원체계를 만들어 지역 기술 혁신 허브를 구축하고, 지역 R&D 총괄 기획 체계를 지자체 주도로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지역-과기정통부-혁신주체의 지역의 성장 플랫폼 구축과 연구개발특구 지원 체계, 기능 정비로 혁신 기반을 견고하게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대전시도 과학기술 혁신계획 중점 분야로 ‘국방 반도체’와 ‘첨단 바이오’를 발표했다.
선정된 중점 분야는 시의 혁신 자원을 활용해 R&D 기획 투자부터 성과 확산까지 프로세스를 구축해 세계적인 클러스터로 도약하겠다고 설명했다.
김경일 대전시 과학협력과 과장은 “단기적으로 핵심 기술 자립화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원천 기술 개발 선도하고, 중장기적으로 기업 주도적 혁신 기술 개발 수행·지원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