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실시간 세포 추적 이미징 기술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광주센터 이성수 박사 연구팀이 국립순천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김종진 교수 연구팀, 약학과 장동조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TiNIR의 암전이 억제 효과를 생체영상화, 면역조직화학법, 3차원 홀로토모그래피 기술, RNA 시퀀싱 및 마우스 모델 동물을 이용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광주센터 이성수 박사 연구팀이 국립순천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김종진 교수 연구팀, 약학과 장동조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TiNIR의 암전이 억제 효과를 생체영상화, 면역조직화학법, 3차원 홀로토모그래피 기술, RNA 시퀀싱 및 마우스 모델 동물을 이용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하 KBSI)은 광주센터 이성수 박사 연구팀이 국립순천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김종진 교수 연구팀, 약학과 장동조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TiNIR의 암전이 억제 효과를 생체영상화, 면역조직화학법, 3차원 홀로토모그래피 기술, RNA 시퀀싱 및 마우스 모델 동물을 이용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HO2는 세포에서 헴을 분해하는 효소로, 세포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활성산소(이하 ROS)를 제거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전이성 암에서 HO2 단백질 발현 증가를 확인하고, 기능이 억제됨에 따라 세포 내 ROS 축적 및 인산화 제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세포골격 합성과 세포주기를 억제함으로써 전이암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HO2 억제제로 사용한 TiNIR는 치료 효과 이외에도 형광 특성으로 인해 전이성 암을 추적할 수 있는 탐침자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신개념 기술을 일컫는 테라그노시스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