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사진=연합뉴스 제공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사진=연합뉴스 제공

대전, 세종·충남 3개 시도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운영비 확보에 나섰다. 요지는 국비를 지원해 달라는 것이다. 충청권 3개 시·도는 지난 25일 실무 국장급 간담회를 열고 어린이재활병원의 국비지원을 위해 공동 대응하기로 뜻을 모았다. 지난해 8월에는 대전·세종·충남·북 충청권 4개 시도가 공동건의문을 통해 정부에 병원 운영비의 국비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정부는 지원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지난해 5월 3개과, 70병상의 시설을 갖추고 개원한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장애아동의 치료와 돌봄서비스, 특수교육을 함께 운영하는 새로운 방식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별 이용 어린이 비율은 대전 75.4%, 세종 10.2%, 충남 8.4% 등으로 중부권 어린이재활병원으로서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문제는 병원을 운영할수록 적자가 눈덩이처럼 쌓인다는데 있다. 올해 약 60억 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지난해는 30억 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재활프로그램 등 일부만 국비 지원될 뿐 대부분의 운영비는 시비로 충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재활을 필요로 하는 장애 아동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지만 열악한 지방재정 형편상 국비 지원 없이는 향후 안정적 운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개원 후 지난 11개월간 총 2만 여 회를 진료했다. 현재 하루 평균 120여 명의 환자가 내원하고 있다. 장애 아동에 대한 재활 치료는 수익성이 낮아 치료를 할수록 적자가 발생하는 구조라고 한다. 지역사회에서도 정부가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을 지원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공감이 되는 대목이다.

정부는 서울재활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제주권 공공어린이재활의료센터 등 3개 지정 공공어린이재활병원에는 매년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대전시는 이를 근거로 필수 인건비의 80%(약 51억 원)를 정부가 지원해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건립병원에는 지원사례가 없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정부의 전향적인 검토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