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이달 예비 대상지 30곳 선정
내년 탄소중립도시 10곳 최종 결정
전국 84개 시·군서 참여 의사 밝혀
道, 천안·아산 등 10곳 의향서 제출
7일 용역 보고회… 전략 마련 계획

▲ 환경부에 ‘탄소중립도시’ 공모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시·군 현황. 환경부 제공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정부의 탄소중립도시 공모에 전국 지자체가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탄소중립경제 특별도를 선포한 충남에서 몇 개 시·군이 탄소중립도시로 지정될 지 주목된다.

5일 환경부에 따르면 이달 중 탄소중립도시 예비대상지 30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탄소중립도시는 건물, 수송, 자원순환 등 도시 공간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체계를 구축한 도시를 말한다.

국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선 사람이 밀집한 도시에서부터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2050년이면 전 세계 인구의 70%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유엔 글로벌 지속가능개발 보고서(GSDR, 2019)는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이달 선정할 예비대상지 30곳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내년 9월 탄소중립도시 10곳을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아직 정부 차원의 탄소중립도시 고시안이 나오지 않았지만, 이들 도시는 정부의 탄소중립 관련 사업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다 보니 전국 각 지자체는 일찌감치 탄소중립 선도 도시가 되겠다며 공모 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앞서 환경부가 지자체를 상대로 탄소중립도시 공모 의사를 구한 결과 84개 시·군이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특히 충남은 경기(15곳), 경북(12곳) 다음으로 많은 10개 시·군이 도전장을 내며, 전국 최초로 선포한 탄소중립경제 특별도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표출했다.

공모 의향서를 낸 충남 10개 시·군은 △천안 △아산 △서산 △당진 △보령 △논산 △홍성 △예산 △부여 △금산 등이다. 자동차·철강 등 탄소 다(多)배출 산업 위주의 북부권, 석탄화력발전소가 모인 서해안권, 도청 소재지인 내포권, 인구소멸위기를 겪는 남부권 등 충남 대부분 시·군이 탄소중립도시 지정을 노리는 셈이다. 이밖에 충남을 제외한 충청권에선 대전 서구·중구·대덕구, 세종, 충북 청주·단양 등 6개 시·군이 의향서를 제출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의향서를 제출한 시·군을 대상으로 면접을 진행해 탄소중립도시로서 여건을 파악했다"며 "구체적인 선정 기준은 밝히기 어렵지만 교수 등 민간위원의 자문을 받아 예비대상지를 추릴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충남도는 오는 7일 탄소중립도시 지정 대응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며 공모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용역을 통해 충남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업 구조, 인구 구조 등을 분석해 탄소중립도시 실현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