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600여명·피해금 589억여원
수사 단계 포함하면 1500억원 육박
관련 피해자 1370여명… 더 늘어날 듯
전담수사팀 무기한 특별단속 추진
피해자 보호 위해 지원센터와 협업

대전전세사기피해자대책위원회(대책위)와 100여명의 피해자는 지난 24일 오후 대전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세사기는 주거권을 침해하고 피해 회복이 쉽지 않은 중대한 악성 범죄이자 사회적 재난으로, 국가는 이에 책임을 통감하며 적극적으로 구제 대책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2023.11.24 사진=연합뉴스.
대전전세사기피해자대책위원회(대책위)와 100여명의 피해자는 지난 24일 오후 대전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세사기는 주거권을 침해하고 피해 회복이 쉽지 않은 중대한 악성 범죄이자 사회적 재난으로, 국가는 이에 책임을 통감하며 적극적으로 구제 대책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2023.11.24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대전에서 전세사기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현재까지 검거된 전세사기범이 16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대전에서 붙잡혀 송치된 전세사기범은 10월 22일 기준 162명이며, 이 중 18명이 구속됐다.

전세사기 피해자는 600여명, 피해금액은 589억여원으로 집계됐다.

현재 수사 중인 전세사기 사건까지 포함하면 피해금은 15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피해자는 1370여명에 달한다. 앞으로 검거 인원과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사기에 지역의 한 금융권이 가담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현재 계속 수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경찰청은 전세사기를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고 전담수사팀을 운영하며 연말까지 특별단속을 벌이고 있다.

전세사기범들에 ‘범죄단체 조직죄’를 적용하고 기소 전 몰수·추징 보전한 다른 경찰청 사례를 벤치마킹해 일선 경찰서에 전파·교육하고 있다. 또 시 경찰청에 범죄수익추적전담팀을 운영해 피해회복과 조직적 전세사기에 대응하고 있다.

최근 유성에서 벌어진 200억원대 규모 전세사기와 단건으로 가장 피해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진 3000억원대 전세사기 등 대규모 전세사기 사건에 대해서는 시 경찰청에서 사건을 이관 받아 집중 수사하고 있다.

대전경찰청은 ‘전세사기 피해 근절 종합대책’을 수립해 피해자 보호도 지원하고 있다.

대전시 전세피해지원센터와 협업해 ‘전세사기 피해 지원 안내서’를 제작해 배포하고, 전세사기 상담·소통 창구를 수사팀장으로 일원화했다.

올 연말까지 계획됐던 전세사기 특별단속을 기한 없이 지속 추진하겠다는 정부 지침에 따라 엄정한 단속과 피해자 보호 지원 체제를 유지할 계획이다.

윤승영 대전청장은 "수사기관의 임무는 신속하고 완성된 수사라는 것을 명심하고 향후 전세사기를 대전청 최우선 과제로 둘 것"이라며 "수사역량을 총동원해 민생을 위협하는 전세 사기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