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발 투쟁’ 이필수 의협회장, 비대위 구성 예고
정부 “국민 생명 담보 유감”… 파업 이어질지 주목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고강도 투쟁을 예고한 가운데 의사들이 실제로 병의원 문을 닫는 총파업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의협은 지난 26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전국 의사 대표자 및 확대 임원 연석회의’를 열고 “정부가 일방적으로 의대증원을 추진하면 파업에 대한 전 회원 찬반투표를 즉각 실시해 파업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협은 지난 21일 정부가 발표한 전국 40개 의대 대상 증원 수요조사 결과에 대해 ‘여론몰이’라며 크게 반발했다.
앞서 지난 21일 보건복지부는 전국 의과대학이 당장 내년 치러질 2025학년도 입시에서 의대 정원을 지금의 2배 가까이로 늘리길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필수 의협 회장은 이날 연석회의에 앞서 삭발도 했다. 그는 “의대정원 증원 저지를 위해 의료계가 단일 대오로 적극 행동할 때”라며 이번주 초 비상대책특별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예고했다.
의협은 지난 2020년 7월 의대 정원에 반대하면서 집단 진료거부를 했었다. 간호법 제정이 추진됐던 지난 4~5월에도 개원의 등을 중심으로 휴진 후 집회를 열기도 했다.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의협의 입장에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담보로 한 총파업 언급”이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6일 입장문을 통해 “그동안 지역필수의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발표하고 진정성을 갖고 17차례에 걸쳐 대한의사협회와 의료현안협의체에서 논의를 진행해왔다”면서 “의대정원 확대 문제는 대한의사협회뿐 아니라 필수의료 현장의 환자와 의료소비자, 지역의료 현장의 주민 등 국민 모두의 생명건강과 관련돼 있는 국가 정책”이라고 밝혔다.
의협은 정부가 의료계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의대 정원 확대를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파업과 관련해선 정부의 방침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대전시의사회 관계자는 “마지막 수단으로 파업까지 예고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방침은 정해지지 않아서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 방침에 따라서 파업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