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행감서 학생생활지도 부족 드러나
교육청, 개인 맞춤형 통합 생활지도 강조
교사들 보호할 관리자 책임 강화 필요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충남교육청이 내년 학생생활지도 강화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충남지역 교사들은 학교 관리자의 책임이 강화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생활지도로 발생하는 책임을 교사가 떠안게 되면 학교 현장에서 생활지도 강화가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이다.

이병도 도교육청 교육국장은 23일 도교육청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을 통해 "충남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학생생활지도 부분에 대한 부족함을 느꼈다"고 말문을 열었다.

지난 17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도의회 교육위원회 소관 도교육청 행감에서 학생생활지도에 대한 부족함이 드러났다는 것이다.

이 국장은 "학교폭력 횟수 등이 대폭 줄어들어야 하는데 줄어들지 못하는 상황이 더 이상 벌어져서는 안 될 것"이라며 생활지도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이어 "학생 대다수를 상대로 한 정책은 효과성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이들 개인의 맞춤형 통합 생활지도가 이뤄져야 한다"며 "한 아이가 어떤 학생인지에 대한 진단을 통해 생활지도가 이뤄질 수 있도록 생활지도의 방향을 전환하겠다"고 덧붙였다.

도교육청의 생활지도 강화 방침에 충남지역 교사들은 교장 등 학교 관리자의 책임이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는 생활지도로 발생하는 모든 책임을 교사가 떠안고 있는데, 교사를 보호해 줄 수 있는 관리자의 책임이 강화돼야 생활지도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 주장의 핵심이다. 충남지역 일부 교원단체에서도 "학교 관리자가 생활지도에 대한 책임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충남의 한 초등교사 A 씨는 "정서적 학대라는 것이 애매모호해 학생들이 기분이 나쁘면 교사를 아동학대로 고소고발 할 수 있는 데 교사가 고소고발을 당하면 심리적 압박감과 위축감이 상당하다"며 "이런 상황에서 교사가 생활지도를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학교 관리자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생활지도 강화를 위해 관리자 책임이 강화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도의회 교육위원장인 편삼범 의원(국민의힘·보령2)은 "선진국의 경우 생활지도를 교장실에서 하는 경우도 있다"며 "생활지도가 잘 이뤄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고려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교육청 전경
충남교육청 전경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